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d라이브러리
"
인체
"(으)로 총 2,11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장내 미생물, 받은 만큼 돌려준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항염증효과가 있음이 보고됐고, 장내 칼슘흡수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보고도 있다.
인체
와 장내세균 사이에도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는 속담이 그대로 적용되는 셈이다.
인체
즉 숙주만 장내세균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공생세균 역시 무시못할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 ...
감금증후군에 걸린 남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처리하는 마더보드는 인간에게 뇌와 같다. 주인공은 뇌의 특정 부위를 다친 것이다.
인체
의 모든 장기와 근육은 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장기나 근육을 다치면 그 부분만 손상된다. 하지만 뇌를 직접 다치거나 뇌와 말단 기관을 연결하는 신경이 손상되면 결과적으로 말단 기관까지 손상된다.뇌는 크게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때문에
인체
의 어딘가에는 헤르페스바이러스가 잠복해 있다. 피로나 스트레스가 누적돼
인체
의 면역력이 떨어지면 헤르페스바이러스는 활동을 재개한다. 성가신 존재가 아닐 수 없다. 2001년 미국 국립아동보건·인간발달연구소 레오니드 마골리스 박사는 예상치 못한 발견을 했다. 배양한 ... ...
질환 단백질의 입체구조에 맞는 열쇠 찾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나오는 신호를 이용해 체내 물 분자의 분포를 영상으로 얻을 수 있다.보통 MRI로는 커다란
인체
조직을 살펴보는데, 얼마 전 연구단은 최첨단 MRI를 이용해 작은 세포를 살아 있는 상태에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를 주도한 연구단의 홍관수 박사는 “개구리 알이 분화하는 생생한 과정을 자체 ... ...
로봇과 스피커, 종이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이밖에 종이 전자태그(RFID)도 김 교수가 의욕적으로 개발 중인 기술이다. 셀룰로오스는
인체
에 접촉했을 때 부작용이 없어 생체적합성이 뛰어나다. 독일을 비롯한 유럽과 미국에서는 셀룰로오스로 인공피부와 인공혈관을 만드는 등 의학 연구가 활발하다.김 교수는 여기서 아이디어를 얻어 의학용 ... ...
PART1 고물 휴대전화 속 보물지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카드뮴, 수은이 그대로 매립될 경우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킨다. 6가크롬은 호흡기를 통해
인체
에 들어가 암을 일으킨다. 브롬계 난연제는 소각했을 때 독성물질을 생성해 두통과 복통, 폐렴을 일으킨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1세기 그린파워 리사이클링 사이언스 INTRO 쓰레기에게 새 생명을! ... ...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mA)의 10만 분의 1에 불과한 수준. 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의료연구단체에 의뢰해
인체
통신의 안전성을 시험하고 있다.전광현상*매질에 전기장을 걸었을 때 매질의 굴절률 같은 광학적 성질이 변하는 현상 ...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rouleaux)이다. 모양이 엽전을 꿴 것처럼 보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기특한 재주 같지만
인체
에는 해가 많다. 건강한 적혈구는 표면에 음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서로 밀어내는 성질이 있어 서로 모이지 않는다. 따라서 적혈구가 모였다는 것 자체가 이미 몸 어딘가 문제가 있다는 뜻이다. 실제로 ... ...
자외선과 형광안료가 빚어낸 색채의 향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방출되는 자외선의 양은 햇빛에서 방출되는 양의 수백만 분의 1에 불과하므로
인체
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예전에 블랙라이트는 위조지폐를 가려내거나 기계의 연료탱크에 새는 곳이 있는지 알아내는 데 많이 쓰였다. 형광 잉크로 표시해둔 지폐나 형광체 분말을 넣은 연료탱크를 블랙라이트로 ... ...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3차원으로 넓어졌다. 3차원 영상은
인체
의 내부를 2차원으로 찍은 사진을 수천 장 모아
인체
내부를 3차원으로 재구성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몸 안의 구석구석을 잘라보듯 환자를 진료할 수 있다.서울대 의대 김세형 교수는 “병원 현장에 3차원 영상장비가 도입된 뒤 진료가 쉽고 정확해졌다”고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