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d라이브러리
"
인체
"(으)로 총 2,116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것을‘심전도’라고 하는데, 심전도도 사람마다 고유한 차이가 있대. 심전도 같은
인체
내부 신호는 워낙 미세하기 때문에 위조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해. 열쇠라고 생각하니 심장 뛰는 소리가 특별하게 들리지 않니?내 몸을 어떻게알아보니?손가락만 갖다 대면 혹은 그냥 지나치기만 해도 나를 ... ...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3차원으로 넓어졌다. 3차원 영상은
인체
의 내부를 2차원으로 찍은 사진을 수천 장 모아
인체
내부를 3차원으로 재구성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몸 안의 구석구석을 잘라보듯 환자를 진료할 수 있다.서울대 의대 김세형 교수는 “병원 현장에 3차원 영상장비가 도입된 뒤 진료가 쉽고 정확해졌다”고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세포를 보호하거나 세포 사이의 교신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당생물학(Glycobiology)은
인체
의 생로병사를 관장하는 당을 연구하는 분야로 1990년대 중반부터 주목받기 시작했다.조 교수는 당뇨병 환자들이 치명적인 합병증에 시달리는 원인을 밝혀 2006년 10월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암 ... ...
죽은 쥐 심장 되살렸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경우는 처음이다.현재 인공심장을 이식하면 심장질환자를 살릴 수도 있지만 이 방법은
인체
의 면역체계와 거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보완이 필요하다. 테일러 교수는 “합성물질을 몸 안에 이식하는 것보다 자신의 세포를 병든 심장에 이식하는 것이 부작용이 적다”며 “10년 뒤면 쥐 심장 재생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적군 공격에 ‘봉화’ 신호 보낸다건강한
인체
의 면역계는 몸 속으로 들어오는 미생물이
인체
에 유해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그리고 유해한 미생물을 발견하면 곧 면역작용을 개시한다. 그러나 면역 체계가 약하면 인식기능도 떨어지고 미생물을 인식하더라도 전달기능이 약해져 병에 걸릴 수 있다.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橫紋筋)이라고도 부른다 뜻대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수의근(隨意筋)이라고도 불린다
인체
의 가로무늬끈의 대부분은 골격근이며 얼굴의 피부를 움직이는 표정근, 혀나 후두(喉頭)를 움직이는 근육도 가로무늬근이다 뇌신경의 편측성핵하성마비(片測性核下性痲揮) 1927년에 G 레이몬드가 두개저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혈액을 채취해 여러 화학물질과 반응시킨 뒤 나온 결과로 질병유무를 알아냈다면 이제는
인체
의 질병감지시스템이 하는 방식과 똑같이 건강한 세포와 병든 세포를 가려낼 수 있는 셈이다. 이 기술은 당뇨병뿐만 아니라 다른 질병을 진단하는 데도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다른 연구자가 미처 보지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만든 치료제아픈 부위를 자극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해 통증을 없애는 일종의 진통제
인체
가 자극을 받으면 수용체가 반응해 어느 수준까지는 통증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이 상태까지를 통증 역치라고 말한다 이 상태 이상의 자극이 오거나 축적되면 세포에 자극이 전달돼 통증을 느낀다망원경으로 볼 ... ...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원소라 직접적 피해는 적지만 휘발성물질인 페놀은 치명적인 발암물질이죠. 오랫동안
인체
에 누적되면 기관지염이나 기관지폐렴 같은 호흡기장애를 불러오고 각종 암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점심 무렵 만리포에 도착한 세종대 지구환경과학과 김기현 교수의 말이다. 임 박사의 ‘SOS’를 받고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273.16℃)에서 별의 내부온도인 수억 도에 이르기까지 온도의 범위는 매우 넓지만
인체
가 민감하게 느끼는 온도의 범위는 아주 좁다. 즉 28~34℃에서 적당하다고 느끼다가 온도가 좀 떨어지면 시원하다고 느끼고 15℃ 밑으로 내려가면 춥다고 느끼면서 고통을 호소한다. 반면 온도가 올라가면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