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회"(으)로 총 3,35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260t급 쾌속 여객선이 출항 40분 만에 돌고래나 밍크고래로 추정되는 물체와 충돌해 회항했다. 당시 부산 해상관제센터는 “(바다에) 피가 많이 보이는 걸로 봐선 고래 같다”고 교신했다.미국 우드홀해양연구소(WHOI)는 고래 출현을 감지하는 로봇을 개발했다. 이 로봇은 안테나 역할을 하는 지름 1.2m ... ...
- [지식] 들어는 봤나?! 수학특성화중학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이것으로 이 사건이 마무리될 것 같지는 않다.절체절명! 아름이를 구하라올림피아드 대회에서 사건이 발생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류건과 아름은 제로에게 납치당한다. 이 모두가 류건과 관련된 어떤 프로그램 때문이다. 아름이가 류건과 함께 잡혀간 이유는 단지 그와 관련이 있는 사람이기 ...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융합한 수업을 시도할 계획이다. 더불어 안산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학교로서 지역 사회에 봉사하는 활동 역시 이어나갈 생각이다. 융합과 나눔이라는 철학을 실천하는 안산해양중학교의 앞날을 계속 지켜보자 ... ...
- [과학뉴스] 대마초 피우면 돈 벌 의지 사라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각 팀에게 ‘노력이 많이 들지만 고액의 보상이 따르는 일(스페이스 바 21초 동안 100회 누르기, 2파운드 지급)’과 ‘노력이 적게 들지만 보상이 적은 일(스페이스 바 7초 동안 30회 누르기, 0.5파운드 지급)’ 중에서 하고 싶은 일을 고르게 했다.그 결과 가짜를 피운 팀에서는 절반이 고액을 주는 일을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채워(뒷채움돌) 이것들의 마찰을 통해 지진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했다(대한지리학회지 42(3), 2007.6, 315-331).한편 문화재는 지진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기도 한다. 현재는 터만 남아있는 황룡사 9층 목탑, 첨성대, 불국사, 석가탑 등에 큰 지진 이후의 수리 기록이나 흔적이 남아있기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edical Research Council·MRC)가 1947년에 세운 분자생물학연구소는 영어 약자로 ‘LMB’라고 불린다. 처음에는 캐번디시연구소 안에 설치한 연구 그룹이었지만, ... 노벨상 씨앗 자란다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INTERVIEW. "좋은 질문을 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기회를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유전자 끼리끼리’를 핵심으로 하는 유전적 근연도 이론을 확립한 윌리엄 해밀턴은 드디어 연구 성과를 집대성해 학술지에 발표했다. 그런데 얼마 안 돼 놀라운 사실을 ... 두 거인 메이나드 스미스와 해밀턴은 평생 어색하고 불편한 관계를 유지했다. 더 큰 갈등은 다음 회에 터진다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용하지만, 해외에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대변을 공수해 위급 시에 제공하는 벤처 회사도 있다.Q. 치료 효과는 어떤가투입한 장내미생물이 얼마나 건강한가에 따라 이식의 성공률이 다르다. 하지만 워낙 증상이 심각한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하기 때문에 대체로 효과가 있다.만병통치약은 아니다, ... ...
- 제 15회 전국학생 과학논술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제 15회 전국학생 과학 논술대회과학의 달을 맞아 글쓰기에 관심 있는 친구들을 위한 논술대회가 열려요. 4월 18일부터 5월 31일까지 열리는 ... 사장상과 상금 20만 원이 수여 된답니다.대한민국 최대 규모와 전통을 자랑하는 논술대회에서 자신의 창의력과 글쓰기 실력을 마음껏 뽐내 보세요 ... ...
- [재미] 피자를 더 많이 먹는 방법!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훨씬 많았어요. 예를 들어 피자를 5번 잘랐는데, 원의 중심이 회색 부분에 들어 있다면 회색 부분의 총량이 흰색 부분의 총량보다 훨씬 많지요. 피자를 3회 이하로 잘랐을 때는 선들이 원의 중심을 지나는 경우에만 총량이 같았어요. 만약 선들이 원의 중심을 지나지 않는다면, 원의 중심이 들어 있는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