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만화가와 천문학자가 만나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과학자들은 이 가운데 지구 가까이 다가오는 소행성 200개를 유심히 관찰하고 있지요.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 과학자들이 현재 지구와 소행성의 충돌을 막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답니다.다른 행성이나 소행성을 우주식민지로 만들 수 있을까? 달보다 소행성에 가는 비용이 오히려 적게 ... ...
우주에도 거대한 장성(長城)이 있다고요?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되는 우주 장성을 발견했다. 이보다 3배 정도 더 큰 우주 장성은 SDSS에서 드러났다. 2003년
미국
프린스턴대 리처드 고트Ⅲ 교수팀이 길이가 14억 광년쯤 되는 우주 장성을 발견했다. 지구에서 10억 광년가량 떨어져 있는 이 장성은 ‘슬론 장성’이라 불린다.우주거대구조에는 거대한 벽 구조인 우주 ... ...
[허풍의 퍼을 세계일주] 뉴욕시에 영웅 탄생!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잡을 수 있었습니다. 현상금은 뉴욕은행 계좌로 넣어 드리겠습니다.”코사노스트라는
미국
최초의 마피아 조직이다. 현상금이라는 말에 허풍이 놀라 말한다.“현상금이라면…? 하하, 저희는 해야 할 일을 했을 뿐인데 감사합니다.”현상금을 확인한 허풍은 웃음이 절로 나온다.“하하, 여행 경비도 ... ...
[수학에 길이 있다] 금융에 불어온 수학바람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거래되는 상품이 얼마나 안전하게 수익을 낼 수 있는지 상품의 위험성을 계산한다.
미국
의 경제를 뒤흔든 방정식!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교수였던 피셔 블랙과 마이런 숄즈는 1973년 파생상품의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블랙-숄즈 방정식’을 만들어 발표했다. 블랙-숄즈 방정식은 공기 중에 ... ...
뉴욕에서 서울까지 아이 러브 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난 명예기자 김나연이야. 우리가 설레는 마음으로 찾아간 곳은 바로 국립서울과학관!
미국
뉴욕자연사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기후변화체험전을 우리나라에서도 볼 수 있다는 소식을 들었거든. 뉴욕자연사박물관이 어디냐고? 영화 ‘박물관은 살아있다’와 ‘스파이더맨’의 배경이 되기도 한 ... ...
② 꼼꼼히 계산하면 친환경 보인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이제는 개를 잡아먹을 때헉! 개를 잡아먹을 때라니 대체 무슨 말일까? 최근 해외에선 이같은 제목의 책이 눈길을 끌고 있다. 저자인 뉴질랜드 ... 때문에 따뜻하게 유지되던 기온이 온실가스가 줄면서 변화의 폭이 커졌다는 해석이다.
미국
에서 하루에 비행기에 쓰는 기름은 2억 6500만L나 된다 ... ...
작은 로봇이 인간의 뇌를 탐구한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학교와 샌디에고 캘리포니아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작은 로봇 ‘칼’을 만들었습니다. 칼은 생물학적인 신경계를 가진 ‘뉴로 로봇’으로 쥐와 같은 설치류의 뇌 모델로 조종할 수 있습니다.연구팀은 쥐의 의사결정 능력을 기록해 칼의 두뇌 제어 프로그램에 적용했습니다. ... ...
머릿속의 초시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인간은 어떻게 정확한 박자에 맞춰 피아노를 치고 시속 150km로 날아오는 야구공을 받아칠 수 있을까. 운전을 하거나 심지어 다른 사람과 대화할 때도 정확한 ... 치료하는 데 이 발견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 10월 19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렸다 ... ...
한국 슈퍼컴퓨터 세계 14위 역대 최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수 있다. 슈퍼컴퓨터는 매년 6월 유럽에서 열리는 ISC(International SupercomputingConference)와 11월
미국
에서 열리는 SC(Supercomputing Conference)에서 성능 순위가 발표된다.KISTI 슈퍼컴퓨터는 이번 기록으로 중국의 ‘텐허1호’에 이어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뛰어난 컴퓨터로 인정받았다. ...
만성통증의 원인 풀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통증이 사소한 감각을 통증으로 느끼게 만드는 신경섬유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신경과학자인 로버트 에드워드 박사는 C-LTMRs라는 수용체 단백질에 주목했다. 이 수용체는 자극에 대한 역치가 매우 낮아 보통의 통증섬유와 달리 쉽게 자극받는 게 특징이다. ... ...
이전
826
827
828
829
830
831
832
833
8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