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0,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라노 드 베르주락
과학동아
l
199112
시라노씨는 뉴턴보다 40년가량 이전에 이미 알고 있었다. 그는 누구보다도 먼저 로켓의
가능
성을 터득하고 있었던 것이다.지난 1969년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이 달에 처음으로 발을 내딛어 '인류의 거대한 발자욱'을 남겼을 때 과학공상소설가들을 모신 신의 전당인 발할라 어디선가에서 시라노씨의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12
완성해놓은 상태에서 아라미드섬유 원료를 공급하는 네덜란드 악소사가 원료공급이 불
가능
하다고 통보해왔다. 듀폰측과의 관계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것. 아라미드섬유를 생산하려면 원료공장도 함께 지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자 코오롱은 진퇴앙난에 빠졌다. 막상 제품을 생산하더라도 ... ...
한국형 DBMS로 자리 굳혀
과학동아
l
199112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보급형 데이터베이스로 자리를 굳히기 시작했다. 영문파일도 변환
가능
워드프로세서 사용으로만 만족하고 있는 잠자는 PC를 깨워 지금보다 10배 이상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관리 2.0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자료관리2.0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 작성, 문서작성,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12
있다. 앞으로도 당분간 '우주의 시작' '인류의 조상' 문제와 함께 영원한 테마로 남아있을
가능
성이 크다.공룡 멸종의 2백가지 시나리오지금까지의 생물체 중 가장 덩치 큰 공룡에는 수수께끼가 많다. 그중에서 최대의 수수께끼는 멸종하게 된 이유다. 공룡은 2억3천만년전부터 6천5백만년전까지 ... ...
항공사진에 잡힌 「의문의 동그라미」
과학동아
l
199112
고개를 끄덕일 수만 없다.그렇다면 누가 의도적으로 장난한 것은 아닌가. 이 또한 불
가능
하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어느 집단에 장난하기에는 형태가 너무 크고(보통 5m 이상의 원) 각지에 너무 많은 숫자의 원들이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12
1년동안 무료전시해 준다. 아울러 매년 열리는 전국우수발명품전시회 출품전시도
가능
하다. 미국 독일 스위스(제네바)에서 열리는 국제발명전에 출품할 경우에는 출품비가 지원되고 수상하면 포상금도 준다.무엇보다 큰 혜택은 개인 및 중소기업 특허에 대한 사업화 지원일 것이다. 금년부터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12
즉 형상기억기능이 있는데 이를 적절히 활용하면 인간의 수족을 대신할 수 있는
가능
성도 엿보인다. 20세기 부싯돌녹슬지 않으며 타지않고 단단하며 성형이 쉬운 것은 무엇일까. 물론 답은 무기질의 세라믹스다. 도자기 벽돌 시멘트 유리 등이 이른바 고전세라믹스이며 최근 신소재로 각광받는, ... ...
80억달러 규모 초전도 가속기계획에 일본 참여할까?
과학동아
l
199112
이들은 와인버그교수가 지적한 바와 같이 SSC가 인류가 건설할 최후의 가속기가 될
가능
성이 크다는 사실에 동의하고 있었다. '이 테라볼트 (1${0}^{12}$V)급 프로젝트에 일본이 빠질 수는 없지 않는가'라는 생각이 그들의 머리속을 맴돌았다. 그러나 자금을 내는 데는 고도의 정치적 결정이 필요하기 ... ...
12월21일 월식
과학동아
l
199112
이 기간 동안이 연속촬영 시간이 된다. 달은 1시간에 약 14.6°정도씩 이동하므로 촬영
가능
시각은 (표2)와 같다. 한 필름에 연속적인 변화를 전부 촬영해야하므로 다중노출이 되는 셈인데 보통카메라는 다중노출장치가 없거나 있다하더라도 촬영 도중에 카메라를 건드리면 방향이 틀려지기 쉬우므로, ... ...
화성을 「제2의 지구」로 만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112
버티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자연의 법칙을 바꿔보겠다는 생각만 갖고 있다면 불
가능
한 일은 없다". NASA의 인공생물권조성연구(Biosphere Research)에 참여하고 있는 애버너 박사의 말이다. 그는 "화성이 춥긴 하지만 사람들이 이미 살고있는 지구의 남극보다 추운 것은 아니다. 또 물이 귀하긴 ... ...
이전
827
828
829
830
831
832
833
834
8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