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0,271건 검색되었습니다.
YF22가 차세대 전투기로 결정된 내막
과학동아
l
199111
미국 국방부는 ATF의 조건으로 '연료소비량을 최대한 줄여 초음속으로 장거리 비행이
가능
하며 공중전시 기동성과 스텔스성을 겸비할 것'을 내걸었는데 시험결과 P&W사의 엔진이 이러한 조건을 보다 많이 충족시켰다는 것. YF22의 엔진은 시험비행에서 재연소장치(현재 초음속기는 이를 통해 초음속을 ... ...
「혈액형 성격진단」 근거있는 것일까?
과학동아
l
199111
극히 미약하다"고 말하고 "혈액형을 통해 어떤 형의 인간이라 단정짓는 것은 거의 불
가능
하다"고 결론지었다.그후에도 여러 사람들이 혈액형과 성격과의 관계를 연구했지만 결론은 크게 차이나지 않았다.그런데도 불구하고 '혈액형 성격판단'은 계속 불씨를 살려가며 일반사람들에 회자되고 있다. ... ...
(2) 영화도
가능
한 스테레오 홀로그램
과학동아
l
199111
천연색 그대로, 즉 피사체가 가지는 가장 자연스러운 색채를 띠는 홀로그램의 제작은
가능
한가. 현재 여러곳에서 자연색 홀로그램을 제작하고 있는데, 필자가 직접 본 최근의 완전 컬러 홀로그램은 반사식 홀로그램의 발명자인 소련인 과학자 유리 데니슈크가 직접 제작한 것이다 ... ...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11
운반체만 파괴하는 장치를 도입, 발사당사국 또는 발사목표국 어디에서나 폭파가
가능
하도록 대처하고 있다.이 장치는 미사일 발사와 동시에 암호가 전달되도록 돼 있다. 이 암호는 상대국에도 비상연락망으로 전달돼 피해가 최소가 되는 중간지점 또는 북극지방으로 핵폭탄을 유도해 그곳에서 ... ...
학부과정은 폭넓은 기초지식 쌓는 장(場)이 돼야
과학동아
l
199111
발전하기 때문에 기업에서 곧바로 써먹을 수 있는 인력을 대학이 양성하기란 거의 불
가능
하다. 오히려 기업이 데려다 훈련시킬 수 있도록 기초실력을 단단하게 해주는 것이 대학의 역할"이라고 설명한다.대학의 학부과정은 점차 본격적인 학문연구를 하기 위한 기초과정, 또는 기업에서 업무를 ... ...
지구로부터 17만㎞ 떨어진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111
지름 1백m짜리 소행성과 충돌확률은 1년만에 한번꼴이다.1991년 1월 18일 5시(표준시) 애리조나대학 소행성 연구그룹의 라비노비치는 천구상을 대단히 빠르게 움직이는 17.5 ... 소행성보다 가장 지구에 가까이 접근했다. 확률만 놓고 볼 때 앞으로 더 가까운 소행성이 발견될
가능
성도 있다 ... ...
(2) 바이러스와 백신의 영원한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111
문의하는 편이 낫다. 괜히 여러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바이러스의 전파를 돕거나 복구
가능
한 데이터 파일마저 지워버리는 수가 있기 때문이다.백신프로그램은 바이러스를 체크하는 기능과 바이러스에 감염된 부분을 복구하는 기능 두가지를 가진 프로그램이다.현재 안철수씨가 만든 V3백신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11
거대한 최신과학설비와 이를 운용 할 비용을 학생들 개개인의 등록금으로 충당하기는 불
가능
하기 때문이다."기업의 프로젝트는 이미 많이 하고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값싼 임금비용을 보고 들어 오는 단기성의 프로젝트가 아니라 학교발전을 위한 기금(fund)이 조성돼야할 것"이란게 천원장의 ... ...
병마를 추적하는 첨단의료기기들
과학동아
l
199111
각도에서 절단하여 관찰할 수 있다. 즉 횡단면 이외에 종단면 등 임의의 각도에서 관찰이
가능
하여 진단의 폭을 넓혀주고 있다. 또한 X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신체에 주는 해가 없고 X선과는 달리 수소원자의 분포로 나타나는 새로운 해부 학적 구조를 표현하여 주기 때문에 그 임상적 활용 ... ...
1. 핵무기와 원자로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11
왔고, 앞으로도 이에 대한 연구는 계속 될 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냉각재 상실사고의
가능
성 자체를 없애거나, 냉각재가 상실됐더라도 핵연료에는 아무런 손상을 입히지 않는 원자로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공포의 대상은 아니다지금까지 원자탄과 원자로의 반응원리와 ... ...
이전
829
830
831
832
833
834
835
836
8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