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뉴스
"
분야
"(으)로 총 14,324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사 출신 노벨평화상 후보자 "日 방사능 오염수는 의학적 위협. 도쿄 올림픽 취소해야 ”
동아사이언스
l
2019.09.07
때문에 제거할 수도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의사 출신의 칼데콧 공동창립자는 방사능
분야
세계 최정상급 전문가 중 한 사람이다. 그는 17살의 나이에 호주 아들레이드대 의대에 입학해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해 미국 하버드의대에서 3년간 학생들을 가르쳤다. 노벨평화상을 받은 ‘핵전쟁 방지를 ... ...
많이 풀고, 답 안보고, 즐기면서…수학 잘 하는 비결은 제각각
수학동아
l
2019.09.07
이론체계를 확립하고 확장하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 그러다 보면 다른
분야
에도 제 연구가 쓰일 수 있을 테니까요. 강지원 저는 수학이 쓸모 없지 않다고 생각해요. 예술작품도 실용적인 측면에서 쓸모가 있는 건 아니잖아요. 아름다움 자체가 쓸모가 아닐까요. 저는 페르마의 마지막 ... ...
매일 쏟아지는 3만개 은하 정보 처리하는 '기초과학 빅데이터 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19.09.07
이재현 미국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연구소 연구원이 이달 6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2019 한국 슈퍼컴퓨팅 콘퍼런스 및 국가 ... 말했다. 그는 “물리적인 이해가 없어도 이런 걸 알아낼 수 있는 것”이라며 “천문
분야
의 새로운 연구방법이 생기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 ...
'블랙홀 그림자' 관측팀, '실리콘밸리 노벨상' 수상...천문硏 등 한국연구자 8명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9.06
공간’에 대한 연구를 한 알렉스 에스킨 미국 시카고대 교수가 받았다. 생명과학
분야
에서는 뇌로 하여금 음식 섭취를 제약하도록 신호를 보내는 지방조직의 내분비 시스템을 밝힌 제프리 프리드먼 미국 록펠러대 교수, 단백질 접힘 구조가 제대로 형성되도록 해 단백질 응집을 막는 샤페론의 ... ...
촉각세포 모방한 전자피부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있다”며 “디스플레이용 실감형 터치스크린, 피부부착형 건강 진단 패치 등 다양한
분야
로의 활용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글로벌프론티어사업 나노기반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연구단 지원으로 수행됐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5일 ... ...
차세대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전극 저온 제조 실현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윤순길 충남대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 받는 페로브스카이트에 들어가는 저온 제작 전극을 개발 ... 높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한계를 극복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 ‘나노에너지’ 8월 26일자에 발표됐다. ... ...
뇌세포 조절해 비만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김은경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왼쪽), 김설송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이 뇌세포 조절을 통해 비만을 치료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DGIST 제공 ... 말했다. 연구 결과는 세포가 자신의 기관을 스스로 분해하는 생명과학 작용인 자가포식
분야
국제학술지 ‘오토파지’ 8월 30일자에 발표됐다. ... ...
"독자 우주청 어렵다면 과기부 산하 외청 신설해 독자 기획·예산권 줘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기자 jawon1212@donga.com 탁민제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5일 “소속 인력이 장기간 우주
분야
에 근무하며 전문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독립적인 위상을 가진 우주청이 설치돼야 한다"고 말했다. 탁 교수는 5일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 우주개발의 패러다임적 전환모색: 우주청 ... ...
IBS 차기 원장 후보에 이용희·김만원·노도영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자연과학대학장을 역임했다. 2016년 11월 고등과학원장에 취임했다. 광결정 레이저
분야
에서 이론과 실험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학문 발전과 후학 양성에도 크게 공헌했다. 김만원 KAIST 명예교수. 고등과학원. 김만원 KAIST 명예교수는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 ...
지능형 반도체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종료...94명 교육 수료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수 있다”며 “최근 일본의 화이트 리스트 한국 배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도체
분야
장비 및 부품 관련 기업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835
836
837
838
839
840
841
842
8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