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합"(으)로 총 3,59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시스템이다.비킹 부사장은 “드론에 인공지능(AI), 스마트 기기, 무인자동차 기술 등이 결합하면 더 큰 혁신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DHL 이노베이션센터에는 구글글래스 등 스마트 안경으로 증강현실(AR)을 구현해 물류창고를 관리하는 기술이 전시돼 있었다. 직접 착용해봤더니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경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연구팀은 빵의 반죽을 부풀릴 때 사용하는 미생물인 이스트에 ‘페리틴 단백질’을 결합해 자성을 갖는 이스트를 만들었어요. 페리틴 단백질은 사람의 몸에도 있는 단백질로, 산소를 옮기는 적혈구 속의 헤모글로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철 이온을 저장하는 역할을 해요. 자석으로 철을 문지르면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니샤는 지금까지 윤환이 해준 얘기와 네트워크에서 크게 관심을 끌고 있는 영상을 결합시켜보았다. 윤환이 자신을 공격하고 싶은 욕구가 생기지 않느냐고 물었던 것도 떠올랐다.니샤는 바싹 말라가는 입술을 핥으며 말했다.“ ‘그 사람들’이라고 부르지 않아도 돼요.”윤환은 그녀를 바라보고 ... ...
- [Career] 마음 흔드는 가시화기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복잡하고 큰 데이터가 자꾸 만들어지는 공학, 과학 분야도 마찬가지다. 슈퍼컴퓨터와 결합한 고급 가시화기술이 활약할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그러자면 연구기관이나 기업이 가진 거대 데이터의 공유가 필요하다. 공동연구가 늘어나야 할 이유다. 김민아 실장은 “반도체, 의료, 자동차, 원자력 등 ... ...
- 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38만 년 뒤 엄청나게 뜨거웠던 우주가 3000K★(약 2727℃) 정도로 식으면서 입자들이 서로 결합했다. 불투명했던 우주는 입자 수가 줄어들어 맑아졌다. 빛을 막고 있던 장애물이 줄어든 것이다. 방해 요소가 줄어든 빛은 전 우주로 퍼져나갔다. 이 빛이 바로 우주 초기 38만 년 순간의 모습을 고스란히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나노입자를 표면에 정교하게 집적하는 연구를 한다. 같은 나노 소재라도 어떤 형태로 결합했는지에 따라 물리현상이 다르기 때문이다.최근에는 그래핀을 활용한 나노전극을 연구하고 있다. 기존에 고분자 박막을 만들 때 사용하는 다층박막적층법을 그래핀에 적용했다. 산화 그래핀에 ... ...
- [공모전] 우리 문제는 우리가 해결한다! 행복한 과학기술 공모전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언어와 레고 마인드스톰, 아두이노, 라즈베리 파이 같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결합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해 실제로 작품을 만들었어요. 과연 어떤 작품이 심사위원의 마음을 사로잡았을까요?세바소의 ‘사랑은 보인다’대구 대성초 5학년 곽민곤, 오유찬, 임민서, 정인철 학생은 세바소(세상을 ... ...
- D 바이오브릭, 내 맘대로 생물체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티민, 구아닌과시토신이 짝을 이룰 수 있다. 마치 블록처럼 짝이 맞는 것들끼리만결합을 이룰 수 있는 셈이다.2단계바이오브릭아데닌, 티민, 구아닌, 시토신 4가지 물질은 서로 짝을 이룬 채 줄지어 있다. 이때 몇 쌍이 모여 특정한 역할을 갖게 된다. 이 단위를 ‘바이오브릭’이라고 한다. ... ...
- [지식] 앨리스의 거울나라 속 거울분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특정한 입자만 결합할 수 있다. 효소와 마찬가지로 감각수용기도 거울분자와 만나면 결합하지 못한다. 이와 반대로 거울분자처럼 생긴 입자를 인지하는 수용기가 있기도 하다.예를 들어 달콤한 맛을 내는 인공감미료인 아스파탐은 D형이다. 그런데 L형 아스파탐을 우리 혀는 씁쓸한 맛으로 느낀다. ... ...
- [과학뉴스] 혈중 알코올농도 실시간 나타내는 패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것이 더 정확하지만 침습적이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그런데 두 가지의 장점을 결합한 기술이 나왔다.미국 UC샌디에이고 김자영 연구원팀은 피부에 붙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센서(아래 사진)를 개발했다고 미국화학회에서 발간하는 ‘ACS 센서’에 7월 12일 밝혔다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