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합"(으)로 총 3,59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이 그리는 미래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자동 번역 대상이다. 2013년 마이크로소프트는 영상인식기술 키넥트와 빙의 번역기술을 결합해 수화 번역 시스템을 개발했다. 사람이 키넥트 카메라 앞에서 수화를 하면, 영어와 중국어로 문장을 만들어 음성으로 들려준다. 카메라 센서가 두손의 동작을 인식하고 빙이 해당되는 단어를 ... ...
- [과학뉴스] 달걀과 대체 달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빠르게 저어 단단한 머랭을 만든다. 흰자를 빠르게 휘저으면 단백질이 풀리는데, 다시 결합하려는 경향이 생기면서 단단한 기포 벽이 생긴다. 이 기포가 공기를 많이 포집한다. 마지막으로 노른자의 지방은 제품을 부드럽게 한다. 노른자는 고형분의 60% 이상이 지방질로 돼 있는데, 그 중 25%는 ... ...
-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과학동아 l2017년 02호
- PC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으로 볼 수 있다.랩온어칩, 인공지능 등의 온갖 첨단기술이 결합된 차세대 말라리아 키트도 한국에서 개발 중이다. 노을(NOUL)의 이동영 대표는 “이 말라리아 키트를 사용하면 혈액 몇 방울만으로도 10~20분 사이에 자동으로 말라리아를 진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Career] 시멘트 없이 콘크리트 만드는 과학 연금술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한국에서는 백시멘트 시장에 진출하려고 준비 중이다. 생석회를 사용한 고로 슬래그 결합재가 백시멘트처럼 하얀색인데다 매우 값싸기 때문이다. ‘미래과학기술지주’ 사에서 사업성이 높다는 긍정적인 평가로 투자도 받았다. 이 회사는 국내 4대 과학기술 특성화대(KAIST, UNIST, GIST, DGIST)가 기술을 ... ...
- [Future] 향기로운 데이터, 냄새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분자가 각각 다르다. 수용체가 각각 결합한 분자의 종류(냄새의 종류)와 특정 분자와 결합한 수(냄새의 농도)에 따라 뇌에서 최종적으로 느끼는 냄새가 달라진다. 사람이 느낄 수 있는 냄새는 약 4000가지다.▶Enter: 수백 년 된 책 냄새를 분석하다박물관에 보관된 유물은 아무리 보관을 잘해도 색이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우주에서 실제로 구체적인 생산과 수송, 탐험과 채집과 전투를 수행할 수 있는 인류와 결합한 것은 필연적인 결과일 뿐이었다고 해요. 게임은 우리가 세계를 인식하고 세계를 변혁할 수 있게 하는 가장 효과적인 틀이에요 (역으로, 게임에게도 우리는 세계를 인식하고 세계를 변혁할 수 있게 하는 ...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서열의 변이가 비교적 적다는 사실에 기반해 가설을 세웠다. ‘HA 단백질의 줄기 부분에 결합하는 항체가 다양한 아형의 HA에 반응할 수 있다면, 이 부분을 이용해 반응성이 넓은 범용 백신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단순하면서도 논리적인 가설이었으나 해법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았다. 순차적으로 ... ...
- [과학뉴스] 빅데이터로 감영병 진단 빨라진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가능한 수준으로 증폭시켜 검출하기 위해서다. PCR을 하려면 목표 유전자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짧은 염기서열(프라이머)이 필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어떤 바이러스에 어떤 프라이머가 필요한지 정리돼 있지 않았다.연구팀은 빅데이터 기술로 짧은 시간에 바이러스 유전자 진단이 가능한 ... ...
- [과학뉴스] 영하에서 얼음은 한 층씩 녹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분자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관찰했다. 고체일 때보다 액체일 때 물 분자의 수소결합이 약하다는 점에 착안해, 얼음 표면에 적외선을 쏜 뒤 온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했다.그 결과 연구팀은 영하 38℃에서 이미 얼음 표면의 분자 층 하나가 준 액체로 변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서서히 ...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약 10-11정도로 매우 작아야하는데, 이는 현대입자이론의 관점에서 매우 부자연스럽다(결합계수는 1에 가까워야 자연스럽다고 본다). 즉, 힉스 입자는 인플라톤이 아니다! 지금까지 매우 다양한 급팽창 모형이 나왔지만, 어느 것도 인플라톤의 특성을 성공적으로 기술하지 못했다.이뿐만이 아니다.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