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똥손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송편을 부탁해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9호
말을 들어본 적 있나요? 맛있는 음식을 잔뜩 만들어 나눠 먹는 추석처럼 즐거운 일이
계속
이어지길 바란다는 뜻이에요.똥손 기자도 추석을 맞아 송편을 빚었어요. 그리고 다른 기자들과 이 송편을 나눠 먹었답니다. “한가위니까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똑같이 나눠 줄게요~!” 모두에게 똑같은 양의 ... ...
[기획] 물곰 너는 누구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680km 상공의 궤도에 도착하면 물을 뿌리는 장치로 물곰을 깨울 계획이에요. 이후, 물곰이
계속
살 수 있도록 위성 속 산소 유출을 막고 수분을 유지하며 현미경과 카메라를 통해 움직이는 모습을 3개월간 관찰할 거예요. 이를 통해 우주의 변화무쌍한 기온과 우주에서 쏟아지는 고에너지 입자 속 ... ...
[연중기획] 학교에서 배우는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3탄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많을수록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그래서 더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계속
해서 학습하는 방향으로 인공지능을 만들고 있습니다. 인식을 위한 두 가지 학습 방법 인공지능이 기준을 찾는 방법에는 지도 학습과 비지도 학습 등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지도 학습은 아래 그림처럼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1화. 우주를 관측하고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이어지고 있습니다. 중세와 근대에도 수학을 이용해 우주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계속
됐습니다. 이탈리아 피사에서 태어난 갈릴레오 갈릴레이(1564~1642)는 목성의 위성과 태양의 흑점을 발견하고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는 지동설을 주장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 업적 때문에 갈릴레이는 ... ...
약점 극복한 재생에너지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낮은 수준에 도달했다고 분석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역시 태양광 발전의 LCOE가
계속
낮아지고 있습니다. Q. 변동성 큰 재생에너지, 극복할 수 있을까?“ESS·수소로 극복” 태양광 발전은 주로 낮에만 운용됩니다. 다른 신재생에너지인 풍력에너지 발전도 바람이 불 때만 전기를 생산합니다. ... ...
이대로 멈춰있을 순 없어, 폴리매스의 새로운 진화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설명해줄테니 아래를 잘 살펴봐~! 폴리매스에 더욱더 많은 관심을 가져줘. 폴리매스는
계속
해서 달라지고 있으니까 말이야. 폴리매스의 달라진 점을 공지사항으로 알려주기 전에 먼저 회원들과 공유하는 것도 재밌을 거 같아. 오늘의 폴리매스와 1년 뒤의 폴리매스는 과연 어떻게 달라져 있을까? ... ...
굴뚝 산업에서 반도체 산업으로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열고 있다. 탄소배출을 줄여 인간과 환경을 살릴 수 있는 지속가능한 교통 수단으로
계속
성장해 나갈 것이다. ※필자소개김규옥. 한국교통연구원 4차산업혁명교통연구본부 미래차교통연구센터장이다. 전기차, 자율주행차 등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법·제도를 세우고 표준화 방안을 ... ...
기술로 모빌리티 효율 극대화하다│위현종 쏘카 전략본부장(CSO)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위해 어떤 기술들을 활용하나?차와 쏘카 애플리케이션(앱), 클라우드 간의 통신이
계속
이뤄진다. 앱으로 차량 문을 여는 기술도 개발했다. 기술 개발 이후에 변수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도 중요하다. 데이터 분석으로 10km 떨어진 지역에서 차 문을 여는 이용자들이 발견됐는데 상당수가 ... ...
기술과 안전, 맹목적 기대 경계해야│심지원 동국대 철학과 교수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백인, 남성 위주의 데이터가 그대로 사용되는 등 새로운 기술에서도 기존 사회의 문제를
계속
이어가는 예는 많다. 기술이 사회를 혁신할 것이라는 환상이 있지만, 오히려 기존 사회를 공고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 한다. Q. 인간 중심의 모빌리티란 무엇일까?인간이 모든 문제의 ... ...
[인터뷰] “도시 다양성·복잡성 살릴 모빌리티 실험 필요해”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등 일부를 제외하곤 여전히 도시화는 충분치 않다. 따라서 전 지구적으로 보면 도시화도
계속
진전될 것이다. 다만 현재의 대도시는 에너지 소비가 많고 재난에 취약하며 불행하고 범죄가 많다. 지속 가능하지 않다. 앞으론 대도시 중심 사고에서 벗어나야 할 거다. 작은 도시가 주는 행복감을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