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대"(으)로 총 1,939건 검색되었습니다.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흠…, 여기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인가? 내 소개부터 하지. 나는 ‘펠리노’ 신. 땅 속을 뚫고 들어가 지구 반대편에서 나오는 남아메리카, 그 중에 ... 호와 페루의 수도 리마를 거쳐서 우리나라에 돌아왔어요. 힘든 여행이었지만, 안데스의 고대 문화를 느낄 수 있었던 귀중한 기회였답니다 ...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조종하는 저그 vs 지구의 미생물·기생충저그는 ‘젤-나가’라는 고도로 발달한 고대 종족이 창조한 생물체다. 저그는 숙주 동물의 살을 파고들어가 숙주와 결합하는 적응능력이 뛰어났다. 초기에는 자그마한 곤충에 불과했던 저그는 이런 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숙주와 끊임없이 결합하면서 ...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수 있다. 고추가 한국에 들어온 시기가 임진왜란(1592년) 이후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고대부터 현대까지의 한국식품문화연구의 최고봉이었던 이성우 전 한양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1978년, 고추가 일본에서 담배와 함께 전파됐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곧 통설로 굳어졌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고추는 ...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쉽게 설명하는 이종필 연구원의 ‘샐러리맨 전 차장이 아인슈타인이 되기까지’와 고대 엔지니어 입장에서 신화를 탐색하는 맹성렬 우석대 교수의 ‘피라미드 문명의 코드’도 눈길을 끈다.그렇다고 사이언스온이 기자와 과학자의 글 놀이터만은 아니다. 생활인의 눈에서 과학을 바라보기도 한다. ... ...
-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수학동아 l2010년 05호
- 그 어떤 복잡한 미로도 그래프를 이용해 쉽게 길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 냈습니다. 고대 미로는 한붓그리기라는 말이 앞에서도 나왔지요? 한붓그리기를 누가 연구했는지 아십니까? 바로 저랍니다. 하하~.누구나 한 번쯤 복잡한 전시관에서 길을 잃은 기억이 있을 겁니다. 이 작품 아까 봤던 건데! ...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수학동아 l2010년 05호
- 360°로 나타낸다. 한 바퀴를 100°로 할 수도 있었을 텐데 왜 360°가 됐을까? 그 이유는 고대 바빌로니아 사람의 방법을 지금도 그대로 쓰고 있기 때문이다.바빌로니아 사람들은 태양이 1년 동안 지구를 한 바퀴 도는 길인 ‘황도’를 꾸준히 관찰했다. 당시 바빌로니아에서는 1년을 12달 360일로 나눈 ... ...
- 책을 만들 때도 수학적 사고력으로!수학동아 l2010년 05호
- 보면 어떨까요? 박은주 대표님의 추천도서 51. 어린이를 위한 책의 역사어린이 눈높이로, 고대의 진흙판 책에서부터 미래의 전자책까지 책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책.책의 제작 방법, 발전 과정은 물론이고, 책에 관해 궁금한 모든것이 담겨 있어요.2. 피타고라스 ...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선원들은 서호주 남붕국립공원의 피너클 사막의 석회암 돌기둥을 보고 폐허가 된 고대도시로 착각했다. 그도 그럴 것이 가까이 가서 봐도 마치 서호주 북부지방의 흰 개미집처럼 보인다. 이 돌기둥의 실체는 풍화작용으로 땅속 깊이 숨어 있던 석회암 기둥이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돌기둥의 외형은 ... ...
-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수학동아 l2010년 05호
- 급하시지. 지금부터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미노타우로스가 갇혀 있었던 미로는 고대 미로로 길만 잘 따라가면 중앙에 도달해요. 그런데 사람들은 미로의 모양을알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이 가고 있는 길이 맞는지 의심해요. 즉 왔던 길을 되돌아가는 것을 반복하다 결국 길을 잃고 말죠. 전 제가 ... ...
- 밀레니엄 문제수학동아 l2010년 05호
- 문제로, 이를 증명하면 공업이나 상업, 컴퓨터의 미래는 크게 바뀔 것이다.2. 리만 가설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는 소수가 끝없이 계속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그리고 1859년 독일의 수학자 리만은 소수가 어떤 규칙에 따라 배열돼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만약 소수의 규칙을 발견한다면 수에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