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성
d라이브러리
"
깊은
"(으)로 총 2,178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곳에서 자원을 개발할 수 있는 길이 열리고 있답니다.로봇 집광기사람이 들어갈 수 없는
깊은
바다에서 심해저 자원을 캐기 위해서는 로봇 집광기가 반드시 필요하다. 탱크와 같은 모양을 한 로봇 집광기는 미리 설계된 경로를 돌아다니며 바닥에 있는 광물을 빨아들여 채집한다. 그리고 이것을 잘게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중앙집중식 처리의 연장선에서 ‘대심도 빗물배수터널’을 짓기로 발표했다. 도심
깊은
곳에 대형 빗물저장 공간을 만들어 홍수대응 시간을 10~15분 정도 벌기로 한 것이다. 이 계획은 많은 예산이 들어 현재 사업진행이 원활하지 않다. 광화문 한 곳에만 무려 320억 원이 들어 도심 침수가 발생하는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평평한 저지대가 많다. 용암이 흘러내린 듯한 지형이다. 반면 달의 뒷면은 매우 크고
깊은
크레이터 하나와 그 북쪽에 있는 높고 넓은 산지로 이뤄져 있다. 이 차이는 기하학적인 달의 중심과 달의 무게중심을 동일하지 않게 만든다. 달의 무게중심은 지구 쪽으로 약 2km 치우쳐 있다. 왜 이런 걸까.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눈앞에서 과학저널 ‘네이처’에 실린 최신 논문의 의미를 설명하는 딕슨 교수의 강의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1960년대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 막 규명되기 시작하고 유전자의 작동 원리가 밝혀지던 ‘분자유전학’의 여명기였다. 학부를 졸업하고 대학원에 가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하려는 ... ...
최종병기 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최종병기’처럼 느껴지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활은 구석기 시대부터 사용된 유서
깊은
무기다. 유교문화에서는 군자가 필수적으로 배워야 할 육례(六禮) 중 하나로서 심신수련의 방편이 되기도 했다.한국에서는 여성을 포함한 일반 백성들도 널리 사용하면서, ‘적중’, ‘목적’, ‘한량’, ... ...
[life & tech] 사장님과 말단사원, 누가 더 스트레스 받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무료했던 요양원 생활에 활기를 불어넣어 줬던 젊은이들이 더 이상 오지 않게 되자
깊은
상실감에 빠진 것이다. 새폴스키 교수는 “희망을 줬다가 변덕스럽게 빼앗는 것만큼 효과적으로 우리를 파괴할 수 있는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사회제도 개선이 필요한 이유사회경제적 지위가 스트레스에 ... ...
중국을 넘어 세계로 가는 홍콩과기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분리하지 않고 ‘사이언스 앤 비즈니스’라고 통칭한다. 모든 산업 안에는 이 둘이
깊은
연관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의무는 아니지만 상당수의 학생들이 이 둘을 복수전공하고 있다.아시아의 MIT를 꿈꾸는 만큼 홍콩과기대 학생들은 미국 최고 대학 못지않게 치열하게 공부한다. 중간, 기말고사는 ... ...
대칭 몸매에 행운이 따르는 팔방미인의 수 8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원래 8월!영어로‘oct’라는 접두사가 쓰인 단어를 찾아보면 신기하게도 8과 관련이
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어. 그건 oct가 라틴어의 8을 의미하는 숫자‘octo’에서 나왔기 때문이지. 즉 영어로‘oct’는 8이란 뜻을 가지고 있는 접두사야.예를 들어‘옥타브(octave)’는 어떤 음에서 완전 8도의 거리에 ... ...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는 아열대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유명한 제주 특산물인 옥돔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옥돔은 고등어, 자리돔과 달리
깊은
바다에서 살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대한 반응이 느린 편이다. 그래서 아열대가 되더라도 제주 바다를 지키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자원 풍부해지는 ‘아열대 바다’ 활용해야전문가들은 아열대 바다를 최대한 ... ...
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맡은 물속의 유비쿼터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왜 크기가 작을까. 식물은 빛이 없으면 살수 없다. 식물플랑크톤도 빛이 없는
깊은
바다에서는 살 수 없다. 살기 위해서는 햇빛이 잘 드는 표층에 떠 있어야 한다.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서는 ‘부피에 대한 표면적의 비’의 개념을 알 필요가 있다.면적은 길이의 제곱에 비례하고 부피는 길이의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