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언니오빠
논문
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발표한
논문
입니다. 로저스 교수팀은 이
논문
에서 기존 전자기기에 쓰던 갈륨비소화합물의 물리적 구조를 변경해 성능 저하 없이 스트레처블 특성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스프링을 한번 볼까요. 스프링은 잘 구부러지지 않는 단단한 재료인 ... ...
[수학뉴스] 수학증명, 인공지능에 맡겨라!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구글 연구팀이 수학 정리를 증명하는 인공지능 ‘HOList’를 만들어 화제입니다. 수학 정리를 증명하는 과정은 무척 복잡해서 인공지능이 하기 ... 정말 인공지능이 수학자처럼 증명하는 날이 올까요? 이번 연구 결과는 온라인
논문
게재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4월 5일 올라왔습니다 ... ...
[따끈따끈한 수학] 어떤 경로도 다르게! 반복없는 색칠 문제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만나서 연구하면 어려운 문제도 서로의 지식을 합쳐 순식간에 해결하기도 합니다. 이
논문
에서 증명한 768이라는 색의 수가 최솟값일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이 연구 역시 최솟값을 찾으려고 노력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제껏 백만 개든 1조 개든 어떤 상수 개의 색으로도 항상 반복 없이 색칠 ... ...
하마 똥, 생태계 규소 순환 핵심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이르는 것으로 분석했다. 하마가 생태계에서 규소 순환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셈이다.
논문
의 제1저자인 조나스 쇼엘린크 벨기에 앤트워프대 생물학과 박사후연구원은 “최근 수십 년 동안 아프리카 하마의 90%가 멸종했다”며 “규소의 운반자인 하마의 개체 수가 감소하면 다른 생태계에도 ... ...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여기서 A와 C가 그림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활동을 생성시키는 뇌의 최소지배집합이 된다.
논문
의 제1저자인 이병욱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사후연구원은 “뇌에서 발견된 최소지배집합은 뇌 전체 구역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약 7% 수준이라는 사실을 처음 확인했다”며 “또 이들 최소지배집합은 ... ...
[수학 THE LOVE] 어디서나 사랑받는 팔방미인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모델 만들어김 교수는 국제학술지 ‘몰레큘러 셀’ 2015년 10월 1일자에 생체시계에 관한
논문
을 발표했다. doi:10.1016/j.molcel.2015.08.022 1954년경 학계에 처음 보고된 생체시계는 몸에 시계가 있는 것처럼 생명체의 생명 현상이 24시간을 주기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생체시계는 온도에 상관없이 거의 ... ...
[6월의 수학자] 싫다 싫어 상도 명예도~ 필즈상 거부한 그리고리 페렐만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기하화 추측’의 증명을 다룬 이
논문
은 곧 수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킵니다.
논문
에 ‘푸앵카레 추측’의 증명도 포함돼 있었기 때문이죠. 1904년 프랑스의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가 제시한 이후 100년이 넘도록 풀리지 않아 밀레니엄 문제로도 뽑힌 푸앵카레 추측을 페렐만이 해결한 겁니다 ... ...
시트콤과 애니메이션에서 갑자기 툭하고 튀어나온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2019년 2월 미국수학회에서 만드는 학술지 ‘월간 미국 수학’에 쉘던의 추측을 증명한
논문
을 발표합니다.이 증명을 본 빅뱅이론의 과학 자문 담당 데이비드 잘츠버그 미국 캘리포니아대 물리학과 교수는 2019년 4월 18일 방영한 빅뱅이론 274화에 증명 일부를 화이트보드에 적어 등장시켰습니다. ... ...
블랙홀 첫 직관, 여전히 궁금한 5가지!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저널 레터스(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는 이날 특별판을 내고 이 내용을 담은
논문
6편을 게재했다. 이 사진은 인류가 처음으로 블랙홀을 직접 관측했다는 점에서 ‘세기의 관측’으로 불리며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 세계에서 대대적으로 보도됐다. Q. 어떻게 ‘직관’했다는 건가?블랙홀을 ... ...
[수학뉴스] 인공지능의 수학 실력, 1+1+1+1+1+1+1=6?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사람처럼 규칙을 찾고 일반화하지 못 했던 것입니다.이번 연구 결과는 온라인
논문
게재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4월 2일 게재됐습니다.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