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벤져스:엔드게임] 타노스 핑거 스냅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일 현재 76억3282명으로 설정했다. 인간의 평균 몸무게는 2012년 ‘BMC 공중 보건’에 게재된 논문을 기준으로 62.0kg으로 가정한다. 인체 구성 성분의 비는 물 65%, 지방 12%, 단백질 20%, RNA 1%, DNA 0.1%, 기타 유기물 0.4%, 기타 무기물 1.5%로 이뤄져 있다고 한다(1998년 로버트 프레이타스의 저서 ...
- [영국유학일기] 한 번에 최대 40권 대여, 임페리얼칼리지 도서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그 때 추천 받은 책과 조언이 상당히 도움이 됐다. 그 밖에도 사서 선생님은 필요한 논문열람을 도와주거나, 리포트를 위해 찾은 자료가 얼마나 가치 있는지에 대한 상담도 한다.학생들은 1인당 최대 40권의 책을 한 번에 대여할 수 있다. 대여 기간은 일주일이지만, 3학기가 끝난 뒤의 여름방학을 ... ...
- 인류의 행성 이주 작전, 프록시마 b에 데려다 줄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경작할 농작지의 면적과 우주선의 크기는 어느 정도여야 하는지 계산한 연구 결과를 논문 초고 온라인 등록 사이트인 ‘아카이브(ArXiv.org)’에 발표했다. doi: arXiv:1901.09542 마린 연구원은 “세대 우주선은 현재의 기술로 구상할 수 있는 현실적인 계획”이라며 “다음 연구는 물을 어떻게 얻을지 ... ...
- 오세정|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 창의적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그의 오랜 경험에서 우러나온 말이었다. 물리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약 180편의 논문을 썼는데, 남는 연구는 결국 하고 싶어서 한 연구뿐이더라는 것이다. 시간이 얼마나 걸렸는지, 연구비를 얼마나 썼는지에 관계없이 하고 싶은 연구를 해야 지나고 나서 후회가 없다고. ‘핫’한 전공, ... ...
- 포도알 먹지 마세요, 전자레인지에 돌려 보세요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삶지 않았거나 속을 제거하고 껍질만 남긴 뒤 내부를 물로 채우면 플라스마가 나타났다. 논문의 제1 저자인 함자 카하텍 트렌트대 연구원은 “포도알 정도 되는 크기와 모양, 수분을 함유한 물질이라면 어떤 것이든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플라스마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포도알 플라스마가 ...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주기율표는 총 75칸으로 구성됐고, 그 중 12칸이 비어 있었다. 멘델레예프는 논문에서 이 두 가지 지적에 대해 기존의 측정이 잘못됐으며, 비어 있는 칸의 원소는 조만간 발견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비어 있는 칸에 들어갈 원소의 성질까지 예측하며 주기율표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이후 ... ...
- 대학생이 발견했다! 새로운 '소수' 점화식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잡지 ‘월간 미국 수학’에 소수를 만드는 점화식과 그 초항을 구한 연구가 실렸습니다. 논문을 쓴 주인공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대학교 수학과에 재학 중인 딜런 프리드먼과 줄리 가불스키, 물리학과에 재학 중인 마씨 트론 플로렌틴 그리고 부에노스아이레스기술대학교 전자공학과에 ... ...
- [맛있는 수학] 함수 품은 블랑망제 푸딩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미분 가능하다’는 명제는 당시 수학계에서 명백하게 여겨졌기 때문이죠. 톨은 자신의 논문에서 블랑망제 함수의 의의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연필을 들고 따라 그려보면 쉽고 확실하게 블랑망제 함수의 아이디어를 이해할 수 있다. 사실 응용 수학자나 물리학자, 공학자에게는 이런 ... ...
- [과학뉴스]"포항지진, 지열발전소가 촉발"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실린 포항지진 관련 논문 두 편이 규명하지 못했던 논란을 어느 정도 해소했다. 당시 두 논문은 지진계 데이터를 근거로 포항지진의 진앙을 4.5km 깊이로 분석했고, 진앙의 깊이가 지열발전을 위해 삽입한 지열정의 깊이와 일치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또 지진 관측이 시작된 1978년 이후 2015년까지 ... ...
- 공룡 멸종의 결정적 요인, 행성출동과 화산폭발의 '원투펀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이를 통해 데칸 트랩이 몇 차례의 대규모 폭발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약 100만 년 동안(논문에 따르면 99만1000년) 지속적으로 일어난 화산활동으로 대부분의(전체 부피 추정치의 약 93%) 용암이 분출돼 형성됐다는 주장을 펼쳤다.연구팀은 또한 백악기에서 고제3기로 넘어가는 시기 이후에 전체 부피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