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d라이브러리
"
부피
"(으)로 총 1,310건 검색되었습니다.
쿨하게 열나게 온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않아도 된다.사실 이 온도계는 갈릴레이의 작품이 아니다. 다만 온도에 따라 액체의
부피
가 변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아낸 갈릴레이를 기리기 위해 이런 이름을 붙였다. 이 온도계는 갈릴레이가 죽은 뒤인 17세기 말부터 제작됐고 1776년 설립된 독일의 한 회사가 제작 과정에 대한 특허를 갖고 있다. 이 ... ...
생활 속 단위의 세계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맞는지를 알아보는 도구가 바로 유척이었다.동서를 막론하고 위정자는 길이(度·도),
부피
(量·량), 무게(衡·형), 즉 도량형의 기준을 통일하는데 관심을 쏟았다. 그래야 공정하게 세금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길이가 6500km나 되는 만리장성을 건설하라고 지시했던 폭군 진시황이 남긴 최대 업적은 ... ...
이온결합과 공유결합의 연속성에 대한 오해?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그 역사를 따라가 보자. 원자끼리만 반발한다?19세기 초 돌턴은 기체를 가열하면 압력과
부피
가 커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돌턴은 이를 원자들이 서로 반발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원자들이 반발한다는 가정만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만약 원자들이 반발하면 원자 사이에는 빈 ... ...
솜털처럼 가벼워 보이는 구름의 질량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감안하면 실제 용량은 600L 정도다.우유는 팩의 모양을 고려해야 하므로 1개당 차지하는
부피
는 250ml다. 그렇다면 600L 냉장고에 200ml 우유를 2400개(600/0.25) 정도 넣을 수 있다.어림은 인공지능, 상업 분야에서도 응용되고 있다. 최근 미국 노스웨스턴대의 프라빈 패리토시 교수는 어림을 응용한 인공지능 ... ...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그의 해상시계가 합격점을 받는 순간이었다. 그러나 해리슨은 시간의 오차와 시계의
부피
를 줄이기 위해서 2년 뒤인 1739년 H2를 개발하고 그 뒤 H3, H4까지 개발했다.H4는 지름이 12cm 정도로 대단히 작고 정교해 경도위원회는 이 공로를 인정해 해리슨에게 3000파운드의 상금을 수여했다. 이 시계는 ... ...
USB 충전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중간산물이 배설되며 혈액의 pH는 산성이 된다 용질 1g 당량을 함유하는 용액의
부피
와, 그 용액의 고유 전기전도도의 곱 줄여서 당량전도도라고도 한다 강한 전해질의 농도를 작게 하면 무한 묽힘 때의 당량전기전도도에 근사적으로 가까워지므로 적당한 방법으로 그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부신피질 ... ...
사과 원자, 포도 분자?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염소:염화수소=1:1:2이다. 게이뤼삭의 연구 결과는 압력과 온도가같을 때 같은 기체의
부피
에는 같은 수의‘원자’가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돌턴 입장에서 보면 수소 기체는 원자(H)로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염소도 염소 원자(Cl)로 존재한다. 수소기체 1L와 염소 기체 1L가 반응해 염화수소가 만들어질 ... ...
2. 디지털 솔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아직까지는 충분한 전력을 얻기 위해 배터리를 자주 바꿔야 하는 점이 불편하고, 무게나
부피
도 큰 편이다. 이에 대해 ‘펠린’을 개발 중인 프랑스의 자겜(Sagem)은 올해 72시간(3일)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원을 공급할 예정이라고 한다.미국 애리조나 주의 투손 시에 있는 ‘글로벌 솔라’(Global ... ...
한국형 우주식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치약처럼 알루미늄 튜브에서 짜먹는 형태였다. 지구에서 음식을 운반하기 때문에 무게와
부피
를 줄이기 위해 건조식품이 제격이었다. 문제는 맛이 없었고 부스러기가 나와 떠다닌다는 점이었다. 건조식품에 물을 넣어 먹기도 힘들었고 튜브를 짜는 방식은 우주인들이 싫어했다.미국항공우주국(NASA ... ...
6층 보다 높은 곳에서 떨어져야 안전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이를 이 물리량의 차원이라고 하며 괄호 안에 넣어 표시한다.예를 들어 밀도는 단위
부피
당 질량이므로 밀도의 차원 $[ρ] = M{L}^{-3}$ 이다. 넓이 $[A] = {L}^{2}$이될것이다. 속도는 단위시간당 움직인 거리이므로 속도의 차원 $[v] = L{T}^{-1}$이다. 차원이 없는 숫자란 $[c] = {L}^{0}{M}^{0}{T}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