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d라이브러리
"
부피
"(으)로 총 1,31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권V 로켓주먹 발사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주먹을 높이 5m에 가로와 세로가 각각 4m 정도인 직육면체로 가정해보자. 그러면 주먹의
부피
는 80m3이고 1톤 가량의 소형차 4대가 들어갈 정도에 해당한다. 따라서 태권V 주먹의 무게는 약 4톤으로 볼 수 있다.자동차 4대 분량의 주먹이라면 적에게 상당한 충격을 줄 수 있을 것이다. 1976년 작품 ‘로보트 ... ...
줄어드는 북극해의 얼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띠며 광택은 없다층간에 물을 흡수하여 현저히 팽창해 본래
부피
의 7~10배가 되며, 이온교환성이 매우 높다 조립(粗粒)·완정질의 심성암으로 거의 같은 양의 알칼리 장석과 사장석을 함유하는 암석 따라서 섬장암과 섬록암의 중간적 성질을 띠는 암석이다사장석의 조성은 중성장석이나 조회장석 ... ...
도둑, 고주파에 딱 걸렸어!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 이 시스템은 송수신 안테나를 하나로 만들어 기존 안테나에 비해
부피
를 반으로 줄였다.안테나 하나로 송수신이 가능한 기술은 이미 개발됐지만 전력효율이 낮은 것이 문제였다. 원형편파레이더시스템은 전자회로를 새롭게 배치해 문제를 해결했다. 그 결과 전파를 보낼 때와 ... ...
2. 거대로봇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상태에서 자유 자재로 공격이 가능하게 한다.로봇의 전신을 방탄으로 설계하면 무게와
부피
가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다른 팔은 공격을 막을 수 있는 방호, 방탄 시스템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방호용 팔은 튼튼한 재질로 돼 있어 근거리에서는 이를 휘둘러 공격할 수도 있다.로봇의 머리는 ... ...
전자잉크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중간산물이 배설되며 혈액의 pH는 산성이 된다 용질 1g 당량을 함유하는 용액의
부피
와, 그 용액의 고유 전기전도도의 곱 줄여서 당량전도도라고도 한다 강한 전해질의 농도를 작게 하면 무한 묽힘 때의 당량전기전도도에 근사적으로 가까워지므로 적당한 방법으로 그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부신피질 ... ...
얼음 속에 갇힌 설인을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얼면서
부피
가 약 10분의 1가량 늘어난다는 것을 친구들은 이미 알고 있죠?얼음은 이렇게
부피
가 늘어난 10분의 1 만큼만 물 위에 뜨고 나머지는 물 속에 몸을 감추고 있답니다.그렇기 때문에 빙산이 있는 곳을 항해하는 배들은 물 속에 숨어 있는 나머지 거대한 부분을 주의해야 하지요. 빙산의 일각을 ... ...
아주 특별한 숫자 1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기원전 212년)π는 원의 둘레를 원의 지름으로 나눈 값이야. 원의 둘레나 넓이, 구의
부피
를 구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중요한 상수(변하지 않는 값)지. π의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 몇 천 년 동안 수학자들의 노력이 이어졌고 2002년 도쿄대학교에서는 슈퍼컴퓨터를 이용해서 소수점 아래 1조 2400억 ... ...
물 속에서의 무게와 압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물고기의
부피
도 커지면서 떠오르게 된다. 우리 몸도 마찬가지로 숨을 들이마셔 몸의
부피
를 크게 만들면 부력이 커져서 물에 잘 뜨게 된다.자격루의 과학자격루는 자동으로 종과 징, 북을 쳐서 시간을 알려 주는 물시계다. 1434년(세종 16년)에 장영실과 이천 등이 제작했는데 물을 내보내는 물통인 ... ...
구름, 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흐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왜 그럴까?온도가 내려가도 구름이 생기지만 공기의
부피
가 늘 때도 구름이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장면이다. 페트병 안을 갑자기 손가락으로 눌러주면 페트병 안의 공기가 갑자기 압축되어 물방울이 수증기로 변하면서 병 안이 맑아지고, 손을 떼면 공기가 갑자기 ... ...
백성을 위해 과학을 사용한 정조와 정약용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기술입니다. 성벽 틈사이로 물이 스며든 채 겨울을 지내다 보면 물이 얼었다가 녹으면서
부피
변화로 성벽이 무너지는 원인이 됩니다. 그런데 ‘눈썹돌’을 끼워 놓으면 비나 눈이 와도 물이 성벽으로 스며들지 않고 ‘눈썹돌’을 타고 땅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지요.성을 만들 때 사용했던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