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d라이브러리
"
새
"(으)로 총 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원리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이 그린 망원경 속 우주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원리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Part 4. 우주를
새
롭게 밝힐 뉴페이스 ...
Part 4. 우주를
새
롭게 밝힐 뉴페이스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과학자들은 우주를 더 깊이 들여다보기 위해 지금도 열심히 연구 중이다.그리고 목 빠지게 기다리고 있는 게 있다. 바로 차세대 망원경의 완성이다. 지금보다 더 커지고 ...
새
시대를 열다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원리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Part 4. 우주를
새
롭게 밝힐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열렸다. 문화생활을 위해 마련된 영화관에 미러볼 조명을 달고, 저녁 10시부터
새
벽 2시까지 꼬박 4시간을 겨드랑이에 땀띠가 나도록 흔들어댔다. 중간에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 음악이 나오기도 했다. 주변 사람들이 모두들 나만 쳐다보며 말 달리는 시늉을 했다. 시추선은 ‘드라이 존(Dry Zone ... ...
Intro. 수학이 그린 망원경 속 우주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우주를 떠돌고 있는 수많은 신호. 이 떠돌이 신호는 우주의 신비를 품고 있다. 하지만 이를 관측하지 못하고, 기록해서 분석할 수 없다면 아무 것도 알아낼 수 없다. 인류는 ... 시대를 열다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원리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Part 4. 우주를
새
롭게 밝힐 ... ...
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또 다른 잡음 문제평탄도 문제 빛이 센서에 도달하는 동안 방해물에 의해 중심부보다 주변부가 어두워지는 현상이 생긴다. 해가 진뒤나 뜨기 전에 균일한 상태의 하늘 ...
새
시대를 열다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원리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Part 4. 우주를
새
롭게 밝힐 ... ...
[게임카페] 피하고 맞추고 탑다운 슈터 피하고 맞추고 上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모호한 부분을 구체화하는 과정을 통해 게임의 모양
새
를 정해 나갑니다.게임의 모양
새
를 만드는 과정은 이처럼 게임에 필요한 내용을 점점 더 구체적으로 세분화하는 작업입니다. 이 과정을 문장으로 정리하는 것보다는 ‘마인드맵’으로 아이디어를 도식화하는 게 체계적이고 보기 좋습니다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전에는 우주의 나이가 약 140억 년이라고 의견을 좁혔다).만약 애덤 리스 교수팀의
새
연구 결과가 맞다면 우주는 이전 예측보다 약 8% 더 빨리 팽창하는 셈이다. 우주 나이는 현재 추정하는 138억 년보다 어려지게 된다.물론 리스 교수팀의 결과가 틀렸을 수도 있다. 허블 상수를 얻는 방법은 두 가지다. ... ...
[도전! 코드 마스터] 사이버테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메일이나 출처를 알 수 없는 프로그램, USB 등으로 전달된 악성코드를 나도 모르는
새
받아들이면 컴퓨터가 감염돼요. 그러면 이 악성코드에 심겨진 바이러스가 내 컴퓨터에 연결된 다른 사람들에게 악성코드를 보내요. 이런 식으로 좀비컴퓨터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되지요.좀비 컴퓨터를 ... ...
[핫이슈] 제주항공우주박물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하늘을 날고 싶다는 생각은 인간이 비행기를 만들게 된 계기가 됐어요. 그래서 사람들은
새
의 날갯짓을 주의 깊게 연구했고, 마침내 날개로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는 방법을 터득했죠. 덕분에 거대한 비행기가 하늘을 날 수 있고, 우리는 한 시간 만에 서울에서 제주도까지 갈 수 있게 됐답니다 ... ...
[특별 인터뷰] 깃털 달린 육식공룡에 빠지다! 쉬 싱 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조류 진화설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어요. 쉬 싱 박사는 “깃털공룡 화석은 육식 공룡이
새
의 조상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라고 강조했어요.쉬 싱 박사는 공룡의 이름을 가장 많이 붙인 과학자로도 유명해요. 꼬리를 감싸고 자고 있는 모습에서 ‘잠을 자다’라는 뜻의 중국어 ‘메이’를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