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d라이브러리
"
새
"(으)로 총 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숲이야기] 광릉숲의 겨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먹어요. 큰말똥가리 같은 희귀한 맹금류도 차가운 겨울 하늘을 유유히 날아다니지요.물
새
들도 겨울철 광릉숲을 좋아해요. 국립수목원 앞에 흐르는 봉선사천에는 중대백로나 청도요가 찾아와요. 흰뺨검둥오리나 원앙은 봉선사천뿐만 아니라 수생식물원에서도 자주 만날 수 있답니다. 이번 겨울에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천연기념물센터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곤충 같은 먹이가 풍부했답니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에는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새
발자국 화석이 남게 됐지요.”진짜 뼈부터 연구용 발자국까지, 다양한 화석을 통해 과거를 여행한 친구들은 입을 모아 “더 많은 화석을 보고 싶다”고 말했어요. 유예린(대전 은남초 5) 친구는 “털매머드의 진짜 ... ...
[가상 인터뷰] 백악기에도
새
는 노래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연관이 있어요. 상대방을 유혹하는 구애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거지요. 또
새
들은 소리로
새
끼들을 한데 모으거나 위험을 경고하기도 한답니다. 그럼 공룡도 노래할 수 없었니? 깃털이 달린 공룡 화석들이 많이 발견되면서 조류가 공룡으로부터 진화했다는 사실이 밝혀졌지요. 하지만 과학자들은 ... ...
Part 4. 여기로 가 보자! 신종 발견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찾는 과정에도 유용하게 쓰여요. 또 상상하기 어려운 환경에 적응하다 보니 신비한 생김
새
를 하고 있는 경우도 많답니다.어둡고 고립되면 생물도 희한하게 쑥쑥?신종을 찾기 좋은 또 다른 장소는 사람의 발이 아예 닿지 않았던 곳이에요. 예를 들어 수심 200m 이하의 깊은 바다인 심해는 고성능 ... ...
[과학뉴스] 아빠는 1명인데 엄마가 2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갖고 있지 않았어요. 덕분에 하산은 유전병이 없는 건강한 아이로 태어났답니다.
새
희망 출산센터 대표인 존 장은 두 어머니를 둘러싼 윤리적 논란에 대해 “생명을 살리는 일이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말했답니다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흔들리는 신풍초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일어나다니…. 큰 단층이라도 있었나?”지구과학에 관심이 많은 지원군 선배는 어느
새
분석에 들어간 듯 인터넷 정보를 찾아보며 곰곰이 생각에 잠겨 있었어요. 지진 대피 요령에 따라 미리 문을 열어놓은 것도 지원군 선배였지요.“잠깐 흔들리고 말겠지 했는데, 바로 더 강한 진동이 올 때는 정말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란(亂)’은 ‘난’으로도 읽어요. 실패에 감긴 실을 푸는 모양을 본뜬 글자에 ‘
새
을(乙)’을 붙여 ‘얽힌 것을 바로잡는다’는 의미로 쓰였지요. 이 과정에서 실이 다시 얽힐 수도 있기 때문에, 결국은 ‘어지럽다’는 의미까지 포함하게 됐답니다. 적란운이나 ‘난층운’처럼, 구름 이름에 ‘란(난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부(孚)’는 물을 나타내는 ‘수(水)’와 알을 나타내는 ‘부(孚)’가 합쳐진 글자예요.
새
가 물위에 떠 있는 모습이 알을 품을 때 엎드려 있는 모습과 비슷해 이와 같이 나타냈어요.손을 뜻하는 ‘수(手)’와 ‘오르다’라는 뜻의 ‘양(昜)’이 더해진 ‘날릴 양(揚)’은 ‘손을 위로 올리다’라는 ... ...
[현장취재] 북한산의 생물다양성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곽수진 학생(라이노비틀즈팀)은 “도토리거위벌레도 보고 다친 매미도 살려 줬다”며, “
새
로운 친구와 언니, 오빠들도 사귀고 추억도 많이 만들어서 내년에도 꼭 참가하고 싶다”고 말했어요.김선주 씨(에코마우스 팀 보호자)는 “아들이 자연을 사랑해서 지구사랑탐사대에 참여하게 됐다”며, ... ...
Intro. 전자 심판으로 오심을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특징과 성격에서 착안해 만든 캐릭터로, 고양이의 민첩함과 원숭이의 당당함 그리고
새
의 쾌활함을 가지고 있다. 브라질의 유명한 음악가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의 이름을 따왔다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