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철
동계
한천
동기
뉴스
"
겨울
"(으)로 총 1,767건 검색되었습니다.
백두대간 동물들의 흔적 찾아 숲속에서 펼쳐진 1박2일간의 작은 모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8.10
학생들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 설립된 야생식물 종자 보관소인 시드볼트를 비롯해
겨울
연못, 어린이 정원 등을 둘러보며 개미와 새의 흔적을 찾았다. 수목원 내에서 자주 출몰하는 포유류인 멧돼지와 고라니의 흔적을 찾기 위해 트랩 카메라도 설치했다. 첫날 탐사는 개미의 흔적을 찾는 ... ...
남쪽으로 날아가던 제왕나비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9.08.07
사육한 제왕나비는 이주하려고 하지 않았다”며 “이주 특성을 잃어버린 제왕나비가
겨울
을 날 수 있는 따뜻한 서식지로 이동하지 못하면서 개체 수는 더욱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73/pnas.190469011 ... ...
폭염에 앉았다가 일어나니 '어질'…기립성 저혈압 주의
연합뉴스
l
2019.08.06
따른 피곤함을 느낄 수 있다"며 "30도 이상의 고온과 습한 날씨가 장기간 이어질 때는
겨울
못지않게 혈압을 항시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오랜 기간 술을 마셔온 알코올 중독 환자는 혈관 탄력성이 떨어져 있어 기립성 저혈압에 노출되기 쉽다. 다사랑중앙병원 전용준 원장은 "술은 ... ...
겨울
왕국 '엘사 아빠' 김상진 감독 "애니메이터에게 필요한 건 상상력과 지구력"
과학동아
l
2019.08.03
있지만, 노력하지 않는 자는 반드시 실패합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8월호,
겨울
왕국 '엘사 아빠 김상진 감독 "애니메이터에게 필요한 건 상상력과 지구력 ... ...
'슈퍼문' 뜬다는데… 달 보러 가니 그믐달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들어 두 번째로 가까운 달이지만 침수 피해는 더 클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여름철은
겨울
철에 비해 수온이 높고 기압이 낮아 달에 의한 해수면 상승 폭이 커지기 때문이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최근 10년 중 해수면이 가장 높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특히 야간 ... ...
툭 건드리면 보안용 화면으로...투명도 자유자재 '스마트윈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햇빛이나 외부 기온 변화 등에 예민해 불안정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겨울
철에 널리고 쓰이는 휴대용 손난로의 재료이기도 한 아세트산나트륨을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중학교 화학 시간에 배우는 ‘과포화’ 개념을 도입했다. 아세트산나트륨이 물에 최대 한계 이상으로 녹은 과포화 ... ...
열대 바다 차가워지면 남극 작은 동물도 생존전략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먹고 사는 동물 플랑크톤은
겨울
을 나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모으지 못했고, 결국 2010년
겨울
에 체류한 기간의 절반을 채 채우지 못한 채 새로운 먹이를 찾아 표층으로 올라간 것으로 분석됐다. 엘니뇨현상과 남극 고기압이 강했던 2010년(왼쪽)과 라니냐현상과 남극 저기압이 강했던 2013년(오른쪽) ... ...
[주말 고고학산책]'조개무덤' 패총에서 고대인의 삶을 읽는다
2019.07.20
수 있는 식량입니다. 옛사람들에게도 조개는 야생의 다른 먹거리가 줄어드는 계절인
겨울
과 봄 사이에 특히 중요한 식량이었을 겁니다. 고고학자들이 패총으로 추측할 수 있는 것은 옛사람들의 식습관뿐만이 아닙니다. 고고학자들은 고대인의 쓰레기장인 패총에서 과거의 환경을 엿볼 수 있는 ... ...
지구물질 순환 비밀 간직한 해양 바이러스 실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고세균에 주목했다. 제1저자로 연구에 참여한 김종걸 박사후연구원은 "다른 시기에 비해
겨울
철과 초봄에 서해 해수의 고세균 개체수가 10배 정도 증가하는 것을 관찰했다"며 "서해 해수의 해양 고세균 2종을 이용해 이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서해 ... ...
미세먼지 ‘보통’이어도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4
장거리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박 소장은 “추후 연구를 통해
겨울
동안 미세먼지가 어디까지 어떻게 이동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세먼지 농도 알림에 대해 지금처럼 중계식이 아닌, 2~3일 전에 정확한 예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직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