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리
사고
일고
안
d라이브러리
"
생각하기
"(으)로 총 10,90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돋보기 2개로 만드는 굴절망원경
과학동아
l
199507
망원경의 원리는 무엇일까? 알고 보면 간단하다. 돋보기 두개만 있으면 우리도 망원경을 만들 수 있다.망원경을 발명한 사람은 누구일까요? 각종 연구서와 자료를 쌓아놓고 연구하던 학자냐구요? 아닙니다. 망원경은 네덜란드의 한 안경상인이 렌즈 몇개를 겹쳐가며 풍경을 보다가 만들어낸 작품입 ... ...
실험 통해 창의력 배양
과학동아
l
199507
대전과학고등학교의 한 실험실. 밖엔 눈이 펑펑 쏟아지는 영하의 날씨. 이곳은 난상토론의 열기로 뜨겁다."코일을 다시 감아보면 어떨까요?""자기력의 힘을 달리 해보는 것은요?""제 생각엔… 코일을 통 옆에만 감을 게 아니라 밑바닥 중간부분에도 설치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은데요.""…""좋아, ... ...
3. 사용자가 꼭 지켜야할 10가지 '네티켓'
과학동아
l
199507
인터네트 탐험에 어지간히 자신이 붙은 경우라면 예의 바른 통신에 대해서도 심각히 고민해야 할 것이다. 여간 고매한 인격을 갖추지 않고선 자신을 남들에게 과시하고 싶은 것이 인간본성이다. 통신상에서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되는 일에 대해 살펴본다.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인류의 패러 ... ...
윈도우 동호회
과학동아
l
199507
세상살이의 축소판인 PC통신에는 참으로 다양한 사람들이 들락거린다. 돈벌이나 공부 등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들어오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단지 즐기기 위한 장소를 찾아 이 세계에 들어오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이유가 무엇이건 간에, 이들은 자신들이 헤매고 다니는 이 가상의 공간(cyber space) ... ...
곤충들의 짝짓기
과학동아
l
199506
곤충들은 각자 신체구조상 가장 적합한 형태로 짝짓기와 수정의 패턴을 발전시켰다. 이는 우수한 후손을 남기기 위한 치열한 싸움의 결과이기도 하다.곤충의 짝짓기란 종족보존을 위해 암 수컷이 서로 성기를 결합시켜 자기와 같은 개체 생산을 기도하는 생식수단이다. 이 점은 우리 인간을 비롯한 ... ...
PART1 발암유전자를 알면 암 정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506
대부분의 암은 발암유전자에 몇 단계에 걸친 변이가 일어나 긍극적으로 암세포를 만들게 되는 다단계 발암설로 설명되고 있다.인류 역사상 최초의 암은 5천년 전 이집트 미이라에서 발견된 뼈에 생긴 암으로 기록되고 있다. 1억3천만년 전에 살던 공룡에서도 암의 증거가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암의 ... ...
PART4 제4의 치료법 암백신 실용화 임박
과학동아
l
199506
면역세포의 대표주자인 T세포와 암세포가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 술래인 T세포는 암세포를 찾아내기 위해 혈안이 돼 있는데, 암세포의 은둔술은 교묘하기만 하다. 여기서 T세포를 돕기 위해 개발된 암백신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암은 우리 몸의 세포가 유전적 결함 또는 돌연변이 등으로 ... ...
PART5 암 억제·유발의 두얼굴 p53을 찾아라
과학동아
l
199506
암과 p53의 관계는 매우 복잡해서 양자가 적인지 동지인지 구분하기조차 쉽지 않다. 암발생을 막는 제동장치가 되기도 하고 반대로 암 유발을 돕는 가속장치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정상적인 p53은 암을 억제하고 돌연변이된 p53은 암을 촉발한다.무한궤도를 질주하는 암세포. 비유하자면 제동 ... ...
태양계 환상여행
과학동아
l
199506
자외선으로 본 금성의 핑크빛 대기HST WFPC-2가 자외선으로 찍은 금성의 모습. 지난 1월24일에 촬영한 것으로 당시 지구-금성간 거리는 1억1천3백60만km. 사진에서 핑크빛으로 화려하게 '메이크 업'한 금성 대기는 황산 구름층이다. 이 구름층이 화산성 지형으로 이루어진 표면을 담요처럼 덮고 있다.자외 ... ...
삼국시대 천체관측기록
과학동아
l
199506
우리나라 고대국가들은 서기전부터 천문현상을 체계적으로 관측하여 기록을 남겼다. 이들의 대부분은 천체역학 계산과 꼭 들어맞는다. 태백주현(太白晝見, 금성이 낮에 나타난 현상)을 중심으로 삼국시대 우리 선조들의 뛰어난 과학성을 알아보자."상서로운 구름이 골령의 남쪽에 나타났는데 그 ... ...
이전
838
839
840
841
842
843
844
845
8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