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2. 현재보다 10배 빠른 플라스마엔진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기체상태에서보다 더 높아지면 원자핵과 전자로 분리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가
바로
플라스마다. 뜨거운 플라스마는 움직이는 속도 또한 빠르다. 따라서 플라스마가 우주선의 연료로 사용되면 빠르게 분출되면서 우주선의 속도도 빨라진다.보통 화학엔진은 연료를 수천℃의 기체 상태로 ... ...
화성에서 발견된 얼음 저수지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초기에 낭배(囊胚)가 완성되면 배는 앞뒤로 선장하고 배의 등 쪽에 뻗은 척색
바로
위의 외배엽(外胚葉)은 두꺼워지며 동시에 납작한 판상(板狀)의 신경판을 형성한다 플라즈마를 아주 짧은 시간에 가열하여 고온화시키면 플라즈마는 이온의 열속도 vt로 팽창하기 시작하며 플라즈마구의 반지름을 ... ...
3. 황금꽃으로 다시 피어나는 야생화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야생화의 품종은 어떻게 개량하는 것일까. 우선 자연적으로 많지는 않지만 화훼식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야생화가 있다. 예를 들어 원래 흰꽃이 피는 것이 정상인 산딸나무 중에는 붉은꽃이 피는 경우가 있으며, 열매가 2배 정도 큰 종류도 있다. 이를 선발해 양질의 표현형이 계속 나타나도록 ... ...
연극 무대 위로 올라간 과학자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과학이 나올 때 과학자들이 이에 대한 윤리적 평가를 내리는 것은 아니다. 그 주체는
바로
일반 시민들이다. 그러므로 이들이 과학을 알아야만 제대로 된 판단을 할 수 있다.”주라시 교수는 1950년대에 경구용 피임약을 개발한 뒤, ‘피임약의 아버지’라 불리며 여성계로부터 엄청난 찬사를 들었다. ... ...
2만 보면 오렌지가 생각난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있습니다. 지금 한창 대학입시 공부를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금새 눈치를 챘을 겁니다.
바로
‘공감각’ 표현으로 ‘옛 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은 시각의 청각화이며, ‘금빛 게으론 울음’은 청각의 시각화입니다. 공감각이란 이처럼 색을 보고 소리를 듣는다든지, 글씨를 보고 냄새를 ... ...
진화하는 컴퓨터의 피서법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바퀴벌레 이상으로 혐오스럽다. 무엇보다도 공냉의 가장 큰, 그리고 뜻밖의 폐해는
바로
소음이다. 고요한 밤 적막을 깨는 ‘윙’하는 컴퓨터 특유의 냉각팬 소음. 기계는 자기 좀 시원하겠다고 사람들의 귀를 괴롭히고 있다. 번잡해서 후보에 올라보지도 못한 수냉을 일반 PC에서 주목받게 한 그 ... ...
역대 노벨과학상 수상자 발명품 만난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자연과학뿐만 아니라 문학과 평화 분야의 수상자에게도 공통적으로 찾을 수 있는 특징은
바로
‘창조성’이다.그렇다면 과연 창조성이란 무엇이며 어떤 상황에서 발휘될까. 또 창조적 결과를 얻는데 개인의 능력이 중요할까, 아니면 개인이 처한 환경이 중요할까. 노벨상 1백년의 역사는 그 자체가 ... ...
생선에 소금 뿌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돋구는 뭔가 특별한 메뉴를 떠올릴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소재가
바로
생선이다. 생선을 요리하는 과정은 여타 요리보다 번거로운 편에 속하지만, 생선 특유의 액즙과 씹히는 감촉은 식욕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생선의 성분과 조리에 얽힌 과학적 이야기에 접근해보자. 맛과 멋을 살리는 ... ...
국내 배아복제 급물살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나아가 “한국인 대리모 3명이 복제인간 프로젝트에 참여했다”고 시한폭탄을 터뜨렸다.
바로
종교계와 시민단체들이 한국에서 복제인간이 탄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정부에 ‘생명윤리법’을 하루 빨리 제정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생명윤리법을 준비하던 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는 부랴부랴 ... ...
협곡 사이로 흐르는 물리학 '래프팅'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변한다. 장애물에 부딪친 물살은 장애물을 끼고 돌아가며 가속되고 이 물살은 장애물
바로
뒤편의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을 메워주기 위해 물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흘러 들어간다. 즉 역류가 생긴다는 말이다. 여기는 비교적 속도가 작으므로 물살이 센 곳이 아니라면 오히려 안전한 장소가 된다. ... ...
이전
840
841
842
843
844
845
846
847
8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