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 변화 간직한 자연계의 하드디스크, 나이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희미한 테가 생기기도 하나 진정한 의미의 나이테는 나타나지 않는다.나이테의 숫자는
바로
그 나무가 살아온 세월을 나타낸다. 사람은 백살을 넘기기 어렵고 장수의 대명사인 거북이도 길어야 2-3백년이 고작이다. 그러나 나무는 동물보다 열배는 더 오래 사는 지구의 최장수 생물체다. 미국 서부 ... ...
죽음 부른 다이어트 약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거쳐 최종적으로 시상하부 안쪽에 있는 포만중추를 자극하는 것이다. 식욕억제제는
바로
이 과정을 간섭해 ‘배부르다’는 느낌을 좀더 빨리 갖게 하는 약제다.현재 개발된 식욕억제제는 크게 두가지 방향으로 포만중추를 자극한다. 식욕억제제 자신이 마치 신경전달물질처럼 행동하는 경우와 특정 ... ...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나노미터 영역에서 일어난다. 전자 한개의 터널링 효과로 트랜지스터가 작동되는 것이
바로
‘단전자 트랜지스터’다.기존의 트랜지스터는 수백만개의 전자들이 흐를 때 작동된다. 이때 전자들이 밀집된 공간을 서로 밀치며 이동하기 때문에 상당한 열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단전자 트랜지스터는 ... ...
Ⅰ 키워드로 풀어본 월드컵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머피 대위가 남겼다는 “잘 되거나 잘못될 수 있는 일은 반드시 잘못된다”는 명언이
바로
머피의 법칙이다. 내가 선 줄은 항상 다른 사람이 선 줄보다 늦게 줄어들거나, 우연히 비가 온다는 일기예보를 듣고 우산을 챙겨 외출하면 하루종일 햇빛이 쨍쨍 내리쬔다.그러나 과학자들의 연구를 보면 ... ...
단백질 구조로 생명현상 규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HIV 바이러스의 프로테아제(protease,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억제하는 물질을 찾으면
바로
치료약이 된다.지금까지 신약개발은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의 구조를 알지 못한 상황에서 주먹구구식으로 진행됐다고 볼 수 있다. 수많은 종류의 화학물질을 질병 단백질과 반응시켜보면서 원하는 물질이 ... ...
스파이더맨 vs 배트맨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할 수 있는 것은 참는 것 외에 아무것도 없다.그런 노만 박사의 분노를 표출하는 악당이
바로
그린 고블린이다. 노만 박사는 그린 고블린의 가면을 쓰는 순간, 자신이 받은 폭력에 폭력으로 맞서지 못하게 하는 사회의 굴레를 벗어나게된다.‘ 강한 힘에는 의무가 뒤따른다’는 벤 아저씨의 유언 ... ...
사각형 구멍 뚫는 삼각 드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늘 그렇듯이 기존의 관념을 깨는데서 출발한다.이 드릴의 또다른 비밀은 어디에 있을까.
바로
회전축이 고정돼 있지 않다는 사실에 있다. 만약 회전축이 고정돼 있다면 당연히 로이렉스 삼각형이 회전해서 얻을 수 있는 모양은 원이다. 보통의 드릴은 회전축이 고정돼 있지만 이 드릴에서는 회전축이 ... ...
하드디스크는 오늘 무엇을 기억하는가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기억은 우리 머리 속에서 과거의 일과 상호연계성을 갖고 지속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바로
단편적인 기록과의 차이점이다. 메멘토의 주인공은 하염없이 자신의 몸과 메모지에 현재의 일을 기록했지만, 상호연계성으로 엮을 수 있는 기억이 아니기에 고통스러워한다. 기억하지 못한다면 지금 이 ... ...
롤러코스터처럼 짜릿한 공학설계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무엇보다 중요하다. 여기에 최교수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팀 구성법을 도입했다.
바로
‘인성에 따른 팀 구성법’이다.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어떤 이는 전략가로서 적당하고 다른 이는 개발자로서 적당하다. 또한 시장 분석가도 있어야하며 팀원 간의 갈등을 중재할 중재자도 필요하다. 이 모든 ... ...
작물 생산성 높여주는 이산화탄소 센서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요긴할 전망이다.이산화탄소 센서처럼 연구실에서 개발한 센서는 산업현장에서
바로
적용되는 것들이 많다. 높은 실용성 때문에 실제 연구실에서 유망한 벤처가 탄생하기도 했다. 연구실 출신의 윤동현 박사는 박교수의 지도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알코올의 양을 알아내는 세계 최소형 센서(1×1.2mm ... ...
이전
843
844
845
846
847
848
849
850
8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