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부끄럼 많은 태양계의 외톨박이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밀려나는 반면, 미행성들은 반대로 태양계
안
쪽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태양계
안
쪽으로 밀려들어온 미행성들이 38억년전 지구형 행성에 집중 충돌함으로써 오늘날 달이나 수성 표면에 보이는 수많은 충돌 구덩이를 만들었다는 것이다.결론적으로 천왕성과 해왕성은 목성과 토성 부근에서 ... ...
특집3. 사람 살리는 당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첨단 글라이코믹스 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개발중이다. LG생명과학은 관절기능 개선제나
안
과수술 보조제로 사용되는 히알우론산에 글라이코믹스 기술을 적용해 성능이 향상되고 성형수술에도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녹십자와 목암연구소는 임파종을 치료하는 항체의 당사슬을 ... ...
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처녀생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밝혔다.여성은 난소에 일정한 수의 난모세포를 갖고 태어난다. 난모세포는 자라는 동
안
2번 분열해 극체 3개와 난세포 1개가 된다. 발생에 필요한 물질들이 난세포에 집중되기 때문에 난세포만 난자로 성숙하고 극체는 퇴화해서 없어진다. 황 교수팀 연구원은 난자가 극체를 정자로 착각하고 스스로 ... ...
미래 정보저장기술의 주인공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기술로 발전할지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다. 하지만 위의 4가지 기술 중 적어도 하나는 5년
안
에 500GB~ 1TB 이상의 고용량 광정보저장기기로 발전해 수백억 달러의 정보저장시장을 석권할 것으로 확신한다. 이를 위해 필자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이 초정밀 나노 기술의 융합체인 광정보저장기기 ... ...
반도체 칩 위의 건축가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많은 아이디어를 얻었다.초고집적 SoC 개발을 위한 설계 시스템 개발이나 최고 논문상을
안
겨 준 마스크 재사용 기법도 IBM에서의 연구를 바탕으로 얻은 성과다. 그는 현재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40여편의 논문을 발표했다.신 교수가 KAIST 전자전산학과 교수로 온 것은 지난 2004년 7월이다. 신생 ... ...
떡국 만든 로봇 '떡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오래된 그릇이기 때문에 함부로 다루면 그만 깨져 버릴 수도 있다. 진품 그릇이 네모
안
의 그림과 같다면 설거지 통 속에 담긴 그릇 중에서 진품 그릇은 과연 어떤 것일까? 그릇에 새겨진 무늬와 색깔, 그리고 모양을 잘 살펴보면 알아 낼 수 있는 문제다.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도 잘 관찰 해서 ... ...
전자잉크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해
안
에 거의 평행하여 낮은 기복(起伏)이 이어지는 해
안
평야 침식작용이 진행된 해
안
평야는 지층의 경사에 비해 지표면의 경사가 완만하기 때문에 삭박면(削剝面)에는 지층의 ... ...
언어는'웨' 바뀌는가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달라질까?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신체적 조건 차이는 발음을 구사하는데 아무 장애가
안
된다”고 말한다.서울대 권재일 교수는 “해부학에 근거해 인종 간에 발음이 선천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입증하려는 시도들은 모두 실패했다”고 밝혔다. 어린 시절부터 한국에서 한국어를 익힌 서구인들의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내(川)를 이루는 별자리 천구상(天球上)의 위치는 적경 22h 25m, 적위 十43°이다백조자리와
안
드로메다자리 중간쯤에 있으며 모든 별이 4등성 이하로서 눈에 잘 띄지 않는다현미경을 이용한 세포관찰법의 하나 광학현미경 프레파라트를 짧은 시간에 간단하게 만들어 세포 전체를 관찰할 수 있는 ... ...
특집2. 당나라 단맛의 새 역사를 쓰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맛을 연마하라. 다른 당들도 기회가 있으니 절차탁마(切磋琢磨)를 게을리하지 말라.”(몸
안
에서 분해돼 에너지를 내는 당은 사람들이 찾아 먹게 하기 위해 단맛이 나도록 ‘진화’했다는 설이 있다. 이제 사람들은 화학합성이나 효소를 이용해 구조를 바꿔 에너지를 덜 내는 대신 여러 가지 기능을 ... ...
이전
843
844
845
846
847
848
849
850
8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