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문학자가 남극점에서 본 우주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남극 라이프 ‘오레오 쿠키를 한 손에 들고 밤새도록 우주의 끝에서 날아온 빛을 바라보며…’ 천문학자들의 삶은 이렇게 우아하고 낭만적일 줄 알았다. 그런데 웬걸. 영하 수십 도의 남극대륙에서 찬바람을 맞으며 망원경 꼭대기에 올라 장비들을 납땜하는 ‘극한직업’ 천문학자들이 있었다 ... ...
- [천리안 2B] 해양탑재체 총괄 용상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받아들이는 빛의 크기에 오차가 생기기 마련”이라며 “이를 보정하기 위해 빛의 크기가 항시 일정한 태양을 관측해서 해양탑재체 시스템 내에 일정한 기준을 지속적으로 갱신해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받기 위해 필수적인 검정 및 보정 과정인 것이다.그리고 이때 ...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중력렌즈 효과, 은하단 충돌 등 많은 현상이 이를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암흑물질은 빛을 흡수하지도 않고 방출하지도 않기 때문에 ‘암흑(dark)’이라고 표현하며 오직 중력을 통해서만 파악된다.2012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연구팀이 힉스 입자를 발견해 표준모형이 완성되면서 이후 ... ...
- [ 과학동아 X Geekble] 미세먼지 캐리어 마스크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하지만 아쉬워 마세요. 자외선은 원래 우리 눈에 안 보이니까요. 약하게 보이는 보라색 빛은 자외선과 함께 나오는 보라색 가시광선일 뿐입니다.UV램프와 더불어 미스트 펌프도 준비했습니다. 미세먼지는 피부를 건조하게도 만들기 때문에 미스트로 얼굴을 적셔주기 위해서죠. 미스트를 강하게 ...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어렵다. 하지만 진짜 탱크와 가짜 탱크는 소재의 화학적 특성에 따라 반사하는 빛의 스펙트럼이 다르기 때문에, 초분광카메라로 스펙트럼을 1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단위로 쪼개 분석하면 어느 것이 진짜 탱크인지 구분할 수 있다. 초분광카메라는 2011년 국제 테러리스트 조직인 알카에다의 ... ...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DSP 칩의 크기가 작아졌고 배터리 성능도 개선되면서 노이즈 캔슬링도 최근에서야 빛을 발하게 됐다. 놀이공원에도 노이즈 캔슬링이?사실 노이즈 캔슬링은 음향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미 익숙한 기술이다. 콘서트홀이나 방송국 스튜디오는 물론 휴대전화에도 노이즈 캔슬링 기술이 탑재돼 있다. ... ...
- [수학뉴스] 테렌스 타오 교수 덕에 빛을 본 고유 벡터 연구수학동아 l2020년 01호
- 2006년 필즈상 수상자인 테렌스 타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캠퍼스(UCLA) 수학과 교수가 잘 알려져 있지 않던 행렬과 관련한 중요한 연구를 재조명했습니다.어떤 ‘벡터’의 크기와 방향을 바꾸고 싶으면 행렬을 곱하면 됩니다. 행렬이 크기와 방향을 좌지우지하는 셈인데, 어떤 행렬 ... ...
- 사람 힘으론 절~대 못 떼어내는 접착제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힘으론 떼어낼 수 없는 초강력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열이나 빛으로 활성화되는 분자를 재료로 사용해 카벤이란 분자로 이루어진 초강력 접착제를 만들었어요. 카벤은 고분자 탄소-수소 결합에 끼어 들어가 두 물질을 더욱 강력하게 결합시켜요. 그 결과, 접착제는 견고할 뿐 ... ...
-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허가되는 것은 최초다. 수선화와 박테리아의 합작품 황금쌀은 이름 그대로 금처럼 노란빛을 띠는 쌀이다. 황금쌀의 노란색은 베타카로틴(β-carotene)에 의한 것이다. 베타카로틴은 비타민A의 전구물질로, 주로 녹황색 채소나 해조류에 많이 들어있다. 베타카로틴은 우리 몸에 흡수되면 장과 간에서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망토 안 물체는 보이지 않고 망토 뒤의 배경만 보이게 돼 투명망토가 완성된다. 빛을 휘게 만드는 것, 즉 투명망토의 소재로는 메타물질이 주로 사용된다. 2011년부터 투명망토를 개발해온 캐나다 기업 하이퍼스텔스는 2019년 10월 동영상을 통해 메타물질로 만든 원통형 렌즈를 촘촘히 배열한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