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충으로 세계가 득시글득시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와 무리를 지을 때(군집상) 생김새와 성격이 달라져요. 무리를 지으면 분홍이나 노란빛이 되면서 훨씬 공격적으로 변하죠. ▲ 혼자일 때의 사막메뚜기를 ‘고독상’이라 부르며(왼쪽), 군집 상태의 사막메뚜기를 ‘군집상’이라 부른다(오른쪽). 군집상은 행동이 활발해지고 빨라지며, 색도 ... ...
- [통합과학교과서] 램프의 요정, 지니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덕분에 빛의 양을 3분의 2로 줄일 수 있었다”며 “이처럼 LED 조명으로 에너지도 아끼고, 빛 공해도 줄일 방법을 찾아나가야 한다”고 말했답니다. ● 스토리 따라잡기지니의 설명이 길어지자, 임금님이 지니의 말을 끊었어요.“아니, 그게 아니라, 혹시 자네에게서 헬륨을 사간 자는 없었는지 ... ...
- [과학뉴스] 에어로젤 있으면 화성에서 살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특징이지요.연구팀은 화성의 표면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에너지, 100~200W/m²정도의 램프 빛을 2~3cm 두께의 실리카 에어로젤에 비추는 실험을 한 뒤 컴퓨터 모의 실험분석을 했어요. 그 결과, 실리카 에어로젤은 얇은 층만으로도 태양에서 오는 강한 자외선을 차단하고, 광합성에 필요한 가시광선은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움직이면 전기가 만들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완성된 자가 발전기는 앞쪽과 뒤쪽으로 모두 손잡이가 돌아가지만 두 방향 중 하나는 불빛이 켜지지 않을 거예요. LED는 (+)극과 (-)극이 구분되어 있어서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거든요. 설명서와 똑같이 연결했다면 앞으로 돌렸을 때만 불이 켜진답니다. ... ...
- [섭섭박사 실험실] 추억은 방울방울 비눗방울 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공원을 여유롭게 산책하던 섭섭박사님은 눈앞에 둥둥 떠다니는 비눗방울을 발견했어요. 주위를 둘러보니 공원에 놀러 나온 꼬마가 비눗 ... 기체’지요. 그래서 향의 불씨를 가져다대면 산소 기체가 불씨를 되살려서 밝은 빛이 나는 거예요. *촉매 : 화학반응의 속도를 변화시키는 물질 ...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승부차기 게임, 이강인선수처럼 멋지게 골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공의 방향을 보여주도록 만드는 거죠. 그러려면 Toy-Con(토이콘) 창고에서 스위치의 화면이 빛나도록 코딩해야 해요. 함께 승부차기 게임을 만들어 볼까요? ● 'AND'의 기능을 이해하라!코딩에서 입력된 명령이 조건에 맞는지, 틀린 지 ‘참’과 ‘거짓’의 결과를 내놓는 과정을 ‘논리연산’이라 ... ...
- [출동!기자단] 치약, 로션, 샴푸 ···앗! 여기에 미세플라스틱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조명을 켜자 나일레드에 물든 미세플라스틱들이 푸른색으로 빛나기 시작했답니다. 빛나는 부분을 확대해 보자 미세플라스틱의 모양이 확실하게 보였지요. 미세플라스틱의 크기는 겨우수십μm(마이크로미터. 1μm은 백만 분의 1m다.)에 불과했답니다. 눈으로는 쉽게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크기였지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고무줄 총과 코딩 과녁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아이팝콘 앱으로 구성돼 있어요. 아이팝콘 기기에는 버튼과 가속도, 기울기, 자기장, 빛의 밝기, 온도, 기압 등을 측정하는 7개의 센서가 들어 있지요. 아이팝콘 기기는 이 센서들이 측정한 정보를 아이팝콘 앱으로 전송해요. 아이팝콘 앱에서 이 정보를 이용해 코딩하면 다양한 장난감을 만들 수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비추면 바로 땅 밑으로 들어가는데, 짝짓기 중인 지렁이에게 빛을 비춰봤다. 지렁이는 불빛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짝짓기를 이어갔다. 다윈은 지렁이의 이런 열정(?)이 지능을 가진 덕분이라고 해석했다. 동료들은 지렁이를 연구하는 다윈을 비난했지만, 다윈은 4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틈틈이 지렁이를 ... ...
- [가상충돌 D-8년] 너란 소행성 처음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반사된 빛의 양이 적어 어두운 밤에만 소행성을 볼 수 있어요. 안 그래도 반사된 빛의 양이 적은데 소행성이 작거나 멀리 있으면 망원경으로 찾기 더욱 어려워요. 또 소행성이 태양 근처에 있으면 관측할 수가 없지요. 밤에만 소행성을 볼 수 있는데, 태양 쪽에 있는 소행성은 태양과 함께 뜨고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