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 어떻게 만들어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느리게 진행되면 서 오랫동안
빛
을 내요. 반대로 질량이 큰 별들은 높은 온도에서 밝은
빛
을 뿜지만, 핵융합 반응이 빨리 진행되어 수명이 짧아요. 핵융합 원료인 수소를 금방 다 써버리고 핵융합 반응이 중단되면 온도가 낮아지면서 별의 팽창이 중단돼요. 그러 면 별은 자신의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관측’ 기술 개발을 꼽을 수 있다. 주파수는 파장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여러 파장의
빛
을 동시에 관측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변 책임연구원은 “전파망원경들이 멀리 떨어져 있다 보니 대기 조건도 서로 다르다”며 “각 전파망원경에서 수신하는 신호가 대기의 영향을 받아 수시로 변한다”고 ... ...
[통합과학 교과서] 형의 집이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아크릴을 사용해
빛
은 그대로 투과하면서도 비교적 싼 콘크리트를 발표했어요. 이름은 ‘
빛
감성 친화형 콘크리트’지요. 만드는 방법도 리트라콘과 똑같아요. 틀에 광섬유 대신 아크릴 봉을 고정시키면 되지요. 아크릴은 깨지기 쉬운 광섬유에 비해 튼튼해서 현장에서 인부가 다루는 데도 훨씬 ... ...
[에디터노트] 과학에서 머리카락이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정도로 번역된다)를 제안했다.하지만 호킹 박사는 일찌감치 이런 ‘no-hair’를 부정하며
빛
조차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진 블랙홀에도 빠져나갈 구멍이 있다고 주장해왔고, 수식으로 이를 입증한 논문을 2016년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발표했다. 하지만 2017년 처음 관측된 중력파 데이터를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블랙’ 등장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CNT를 외계 행성을 찾는 우주망원경에도 적용할 수 있다”며 “검은색이
빛
을 흡수해
빛
의 산란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doi: 10.1021/acsami.9b0829 ... ...
[수학뉴스] 2020 브레이크스루상 수학상, 알렉스 에스킨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수학상 주인공인 에스킨 교수는 모든 변의 길이가 유리수인 다각형 안에서 한 변에
빛
을 쏘아 무한하게 반사시킬 때 다각형 안의 모든 점을 지날 수 있는지를 수학적으로 연구한 공로로 상을 받았습니다. 에스킨 교수는 ‘마술 지팡이 정리’를 증명해 다각형의 모든 내각이 유리수면 유한개 ... ...
[수학미술관] 브릭캠퍼스~ 브릭아트의 비밀은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하니 예상보다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움직이는 브릭 작품부터
빛
이 번쩍이고 소리 나는 작품까지 등장했습니다. 브릭 아티스트는 더 정교하고 완성도 높은 작품을 만들기 위해 대개 프로그램을 이용합니다. 프로그램으로 먼저 만들고자 하는 구조물을 설계한 뒤, 그에 맞는 ... ...
[출동! 기자단] 찢고 붙이고, 이래도 예술?! 현대어린이책미술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올라갈수록 통로의 폭과 높이가 좁아졌어요. 통로의 끝에 있는 유리 너머로는 밝은
빛
이 나오고 있었죠. 유리 너머가 궁금해진 기자단 친구들은 한 명씩 차례로 계단을 올라갔어요. “계단 너머로 무엇이 보였나요?” 박수민 학예사님의 질문에 오윤재 기자가 대답했어요. “가로등, 신호등, ... ...
[과학뉴스] 신경 꿰뚫어 보는 홀로그램 현미경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홀로그램 현미경은 레이저 2개가 서로 만나 일으키는
빛
의 간섭 효과를 이용해
빛
의 진폭과 위상을 파악한다.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홀로그램 현미경으로 부화 이후 6~10일 지난 살아있는 성체 제브라피시의 신경망을 선명하게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홀로그램 현미경으로는 어린 ... ...
일본은 왜 포토레지스트와 플루오린화수소를 지목했나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아니라 노광 공정에 들어가는 다른 재료와 환경 조건까지 모두 바꿔야 한다. 13.5nm의
빛
은 공기 중이나 노광 공정에 사용되는 렌즈 등을 지날 때 흡수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EUV는 장비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고, 기존 렌즈가 아닌 특수 거울을 사용한다. 소재뿐만 아니라 부품과 장비 업체와도 긴밀한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