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과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받았지요. 쉘리는 거북이 모양의 로봇이에요. 쉘리는 쓰다듬으면
빛
을 내지만, 때리면
빛
이 꺼지고 팔다리를 등껍질 안으로 숨긴 채 14초 정도 동작을 멈춘답니다. 아이들은 자신의 행동에 쉘리가 즉각 반응하는 것을 보며 자연스럽게 로봇을 괴롭히면 안 된다는 것을 익혔지요. 로봇에도 ... ...
신비┃우주의 빈자리는 무엇으로 차있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전자, 타우, 뮤온 세 종류가 있다. 이들은 암흑물질 후보에서 진작 탈락했다. 가볍고
빛
의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움직이기 때문에 잘 뭉쳐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물질들이 뭉치는 것을 흐트러뜨려 은하와 같은 우주 형성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또 일본 과학자들이 슈퍼카미오칸데라는 초대형 ... ...
질서┃우주의 태초···우리는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보기 위해 가속기라는 거대한 실험 장치를 만들었다. 가속기는 수소나 납 같은 원자를
빛
에 가까운 속도로 가속한 뒤 충돌시켜 빅뱅과 빅뱅 직후에 나타났을 법한 상황들을 재현한다. 물론 빅뱅 당시의 에너지는 지구를 산산조각내고도 남을 만큼 엄청나기 때문에 빅뱅 직후의 우주를 완벽하게 ... ...
질서┃급팽창하며 진화하다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굉장히 짧은 시간 동안 단번에 커졌다고 주장했다. 현재 우주에서 가장 빠르다는
빛
의 속도(초속 약 30만km)만큼, 또는 이보다도 더 빠른 속도로 팽창했다는 것이다. 급팽창을 우주의 역사에 도입하면 지금의 우주가 평평한 모양이 된다는 결론에 이른다.급팽창은 동시에 우주에 대한 또 다른 의문인 ... ...
탐험┃태양계 탐험이야기··· 달 VS 화성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일어나 지금의 달 표면이 만들어졌다. 현재 달 표면은 먼지와 흙 등으로 이뤄진 회색
빛
의 레골리스와 밀도가 낮은 바위들로 뒤덮여 있다.1959년 1월 옛 소련의 탐사선 루나 1호가 달 궤도 근접 비행에 부분적으로 성공한 것이 인류 달 탐사의 시작이었다. 2019년 4월 현재 러시아를 포함해 미국, 일본,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풍속계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계산한답니다. 또 가열된 와이어가 바람의 세기에 따라 식는 정도를 측정하거나 레이저
빛
이 산란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풍속계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답니다. 이 중에서 섭섭박사님은 어과동 친구들과 가장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로빈슨 풍속계를 선택했답니다. 미션 ➋바람의 세기를 계산하라 ... ...
신비┃인류는 정말로 달에 갔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별이 잘 보이지 않는다. 더구나 필름을
빛
에 아주 짧게 노출하기 때문에 별처럼 희미한
빛
을 찍기는 어렵다. 마지막으로 밴앨런대 음모론이 있다. 이 음모론은 달 착륙 조작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가장 자신만만하게 내미는 카드다.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강한 방사선대인 밴앨런대를 ... ...
질서┃우주 분해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현상을 보게 될 것이다. 이렇게 분해된 원자들 역시 생명이 얼마 남지 않았다. 공간이
빛
보다 빠르게 팽창하고 있어서 입자들끼리는 기본 상호작용조차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고, 원자들은 마지막 10-19초에 쪼개져 버린다. 이제 팽창하는 평탄하고 밋밋한 진공만이 남아 시공간의 개념 자체도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너무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까지도 거리가 4.24광년(1광년은
빛
의 속도로 1년을 가야하는 거리)이다. 고도의 과학 문명을 지닌 외계생명체가 웜홀 같은 뒤틀린 시공간을 이용해 왔을 수도 있으나, 그 정도의 비용과 노력을 들여 온 것치고는 활동과 성과가 너무 없다. ... ...
질서┃마침내 별 등장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전자를 빼앗겼다. 그리고 여기서 온도가 더 올라가면서 일련의 핵융합 반응이 시작돼
빛
을 내보내기 시작했다. 이로써 태초의 작은 입자는 우주의 거대 물체로 거듭나게 됐다. 하지만 너무 컸던 최초의 별은 수억 년 만에 운명을 다하고 말았다. 우리은하와 태양계를 만들 씨앗들을 남기고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