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장"(으)로 총 1,4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줄기세포의 줄기를 잡다과학동아 l2005년 11호
- 공사비가 들어간다. 이 비용은 전액 서울대병원에서 지원한다. 황우석 교수가 허브의 소장을, 서울대 의대 안규리 교수가 임상분야 총책임을, 수의대 강성근 교수가 줄기세포 실험과 보관의 총괄 운영을 각각 맡는다.줄기세포는 인체를 이루고 있는 200여 가지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 줄기세포는 ... ...
- 에너지 독립국가 건설하는 화학자과학동아 l2005년 11호
- 장인순(65) 고문은 ‘못 말리는’ 수학 예찬론자다. 올해 4월 소장직을 물러남으로써 27년의 연구소 ‘현역 활동’을 마쳤지만 아직까지 박사급 연구원들에게 틈만 나면 ‘수학공부 더 하라’고 잔소리를 한다.“원자력이란 과학 분야를 탐구하려면 수학이 필수입니다. 원자의 핵이 얼마나 단단한지 ... ...
- 2. 번개처럼 사라지는 입자과학동아 l2005년 10호
- (최단 부팅시간 10초)3분 45초 | 우주 모든 물질의 98%가 만들어지는데 걸린 시간10분 | 소장이 음식물을 1cm이동시키는데 걸리는 시간10분 35초 | 화성탐사선 패스파인더가 보낸 신호가 지구에 도착하는 시간10-43초 | 플랑크 시간. 현대물리학이 적용할수있는가장짧은시간10-27초 | 초미니 블랙홀이 존재할 ... ...
- 레일리의 아르곤발견 실험과학동아 l2005년 10호
- 걸었다. 1879년 맥스웰이 사망하자 그의 뒤를 이어 케임브리지대 캐번디시연구소의 2대 소장으로 취임해 전기 표준을 만드는 데 크게 기여했다. 1884년 캐번디시연구소를 떠난 뒤에는 집에서 음향학, 광학, 전자기학, 수력학, 열역학 등 폭넓은 분야에서 과학연구를 계속했다. 왕립학회 서기와 회장을 ... ...
- 2. 무한 복제의 꿈과학동아 l2005년 09호
- 만드는 과정에서 전기충격 등으로 배아가 불안정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박 소장은 “세계적으로 실험횟수가 증가하고 있어 원숭이 복제는 조만간 실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침팬지 등 사람과 가장 비슷한 유인원은 윤리적인 문제 때문에 사실상 복제가 어렵다. 만일 원숭이가 복제되면 ... ...
- 강원도 산골에서 만난 바닷가 나비과학동아 l2005년 09호
- 생태학교 강원도 횡성군 갑천면 하대리에 있는 홀로세 생태학교(www.holoce.net)는 이강운 소장이 가족들과 함께 1997년부터 8년에 걸쳐 만든 자연 속의 청정 생태학교다.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 산골의 허름한 집을 개조해 풀과 나무를 심고 곤충을 사육하며 일궈나갔다. 지금은 식물생태관, UFO 나비집, ... ...
- 2005 닮고싶고 되고싶은 과.학.기.술.인.과학동아 l2005년 09호
- 수학과 교수, 김규원(53) 서울대 약대 교수, 김예동(51) 한국해양연구원 부설 극지연구소장, 신희섭(5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장인순(65) 한국원자력연구소 고문 ▲산업계 부문에는 김상면(59) 자화전자 대표, 양덕준(54) 레인콤 대표, 황철주(46) 주성엔지니어링 대표 ▲사회문화 부문에는 ... ...
- 원폭 60주년 '히로시마의 종이학'과학동아 l2005년 09호
- 정원으로 다시 태어났다. 달리가 그린 ‘비너스의 꿈’과 피카소의 판화 작품들을 소장한 현립미술관은 히로시마가 문화의 도시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다. 음산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원폭 돔(atomic bomb dome)도 평화기념공원과 함께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자리잡고 있었다.정말 히로시마는 원폭의 ...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과학동아 l2005년 08호
- 화성탐사 등 ‘생색나는’ 우주 계획을 선호한다.이 때문에 조지 워싱턴대 우주정책연구소장 존 로즈던은 “이번 디스커버리 발사는 미국 최초의 유인 우주선인 머큐리호와 달 탐사선인 아폴로 11호와 맞먹을 정도로 중요하다”고 평했다. 단순히 우주 탐사 재개라는 의미를 넘어서 제2의 ... ...
- 2. 그 많던 공룡을 누가 다 죽였을까과학동아 l2005년 07호
- 맞아 지구에서 사라졌다는 주장이 많다.최근 전남대 허민 교수(한국공룡연구센터 소장)가 새로운 공룡 멸종 가설을 제시했다. 이른바 ‘고농도 산소와 산불 시나리오’다. 허 교수는 “백악기 후기 들어 산소 농도가 크게 올라가면서 불이 많이 났고 이런 현상이 화산 폭발과 맞물려 공룡의 수를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