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유
입수
소지
점유
작은창자
교장
청원서
d라이브러리
"
소장
"(으)로 총 1,403건 검색되었습니다.
협력의 산물인가 경쟁의 산물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진공관 개량 위해 연구 시작1930년대 들어서면서 새로이 연구
소장
을 맡게 된 머빈 켈리는 어쩌면 반도체 물질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이른다. 그는 2차 대전이 끝나갈 무렵 이 구상을 구체화했다. 전쟁 기간 중에 이뤄진 레이더 연구가 반도체결정 ... ...
사회적 책임 다하는 과학비평가이고 싶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사회에 대한 관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그치지 않고, 직접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소장
으로 활동하며 그런 사회를 만드는데 앞장서고 있다. 좀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을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의 한 영역으로, 그리고 문화의 한 영역으로 생각하며 과학을 좋아하고 즐겼으면 좋겠다는 것이 그의 ... ...
황새 자연번식 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부화했다. 한편 뒤늦게 낳은 알은 29일 만인 5월 16일 가까스로 부화했다.황새복원센터
소장
인 박시룡 생물교육과 교수는 “보통 병아리가 알껍질을 뚫고 하루를 기다렸다가 나온다”며 “그런데 이번에 앞의 병아리는 이틀을 기다린 반면 뒤의 병아리는 10시간만에 알을 깨고 나왔다”고 말했다 ... ...
최초의 새는 날개가 넷?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매우 흡사했다.이미 지난 2003년 캐나다 캘거리대 석사인 닉 롱리치는 현재 베를린에
소장
돼 있는 시조새 다리에 날개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깃털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크리스찬센 교수는 “다리 깃털은 약 3.5cm 정도로 크기가 너무 작아 나는데 적합치는 않다”면서도 “이 깃털들이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KAIST 총장 선출 결과가 어찌됐던 간에 그는 앞으로 임기 3년의 아·태이론물리센터
소장
으로 활동하면서 포항공대에서 석좌교수를 겸직하게 된다. 노벨상 수상자 출신 첫 교수라는 점에서 벌써부터 그를 통해 국내 물리학 부문의 비약적인 발전을 기대하는 목소리들이 흘러나오고 있다 ... ...
마침내 다시 합쳐진 사자머리 조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섞여있던 사자머리 조각을 회반죽 주물로 떠 뉴캐슬대에 보냈다. 주물은 뉴캐슬대에
소장
된 또다른 조각과 거의 맞아 떨어졌다.밀덴버그 박사가 사망하자 그의 유언대로 반쪽짜리 사자머리는 세프톤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제이콥슨 일가도 나머지 반쪽부분을 박물관측에 기증해 결국 하나로 다시 ... ...
아빠없이 태어난 쥐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여기서 다시 절반의 염색체를 뽑아내 최종적으로 난자를 만들어냈다. 박세필
소장
도 같은 실험에 성공한 바 있다. 다른 사람의 난자를 이용하는 것이 꺼림칙하면 아예 자신의 골수에서 줄기세포를 뽑아 난자로 분화시키는 방법도 있다.어쨌거나 이 모든 경우 염색체가 여성에게서만 온 것이기 ... ...
인공피부 발명한 화장품 글로벌기업 로레알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피부와 모발의 편차를 연구하기 위한 연구소도 열었다. 이 연구소의 빅토리아 홀로웨이
소장
은 “인종별 모발 연구를 통해 머리카락은 모낭세포에서 형성될 때부터 이미 유전자에 모양과 색깔이 프로그램돼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고 말한다.예를 들어 아시아인은 머리카락의 맨바깥 큐티클층이 ... ...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지난 3월 31일 경북 포항 구룡포앞 10마일 해상. 거친 물결사이로 ‘푸우-’ 하는 소리와 함께 물기둥이 솟았다. 이어 서너개의 거대한 물체가 모습을 드러냈다. 사방에서 거친 숨소리와 물기둥이 솟다가 다시 사라졌다. 갑작스런 상황에 본능적으로 준비태세를 취한 연구진 앞에 몸을 드러낸 것은 ... ...
“이것이 초기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1백만초 이상 촬영해 1만개의 은하들을 발견했다고 3월 9일 밝혔다. 스티븐 베크위드 STSI
소장
은 “우리는 과거의 어느 누구보다 더 어둡고 먼 천체를 보았다”고 말했다. 이번에 촬영된 지역의 은하들은 우주가 탄생한 후 4억-8억년밖에 되지 않은 것들로 일부는 서로 뒤섞여 충돌하는 듯한 모습을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