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뉴스
"
면역
"(으)로 총 4,121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기고] 더욱 가까워진 우주시대...100년 뒤를 상상한다
2022.08.27
대폭발로 방출되는 시속 수백만 km의 입자방사선과 고에너지 감마선은 세포와 유전자,
면역
계를 파괴시킬 것이다. 섭씨 수만 도에 이르는 항성 표면온도에서부터 영하 270도에 가까운 심우주 온도까지 엄청난 온도 변화도 목격할 것이다. 따라서 지구 환경을 완벽하게 보존해줄 우주선이나 우주복의 ... ...
치매, 마침내 정복? 뇌의 독성 단백질 제거 '신호 경로' 발견
연합뉴스
l
2022.08.26
뇌에 많이 쌓인다는 것이다. 결정적 진전은 그 다음 단계에 이뤄졌다. 중추신경계
면역
세포 중 하나인 성상교세포(astrocyte)의 '종말 단추'(endfeet)에서 꼬리 달린 아쿠아포린-4 단백질을 발견한 것이다. '종말 단추'는 단추처럼 보이는 '무수(無髓)신경섬유'의 말단으로 다른 신경섬유의 ... ...
“화이자 팍스로비드 40~65세에 효과 크지 않아…고령층엔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2.08.25
않은 데이비드 볼웨어 미국 미네소타대 의대 교수는 AP 통신에 “팍스로비드는 고령나
면역
체계가 손상된 사람들과 같이 코로나19 고위험군에 중요하다”면서도 “그러나 대다수의 미국인에게는 실제로 많은 이점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신노동만 해도 피로한 이유
2022.08.23
뇌의 착각이네...’라고 넘어갈 수는 없는 게 과도한 정신노동이 반복되면 번아웃이나
면역
계 이상 같은 여러 만성 스트레스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익숙해지면서 예전 같으면 상당히 심각한 상황임에도 각종 행사가 속속 재개되고 있다. 다음 달 ... ...
[과기원은 지금]KAIST,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8.23
했다. 새로운 방식의 치료제가 알츠하이머병뿐 아니라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 및 자가
면역
질환 치료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 8월 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학생창업기업 '시고르자브종'이 운영하는 인공지능(AI) ... ...
오미크론 변이용 개량 백신 등장 임박...추가접종 미뤄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8.23
적어도 넉 달간의 간격을 두고 이뤄져야 한다. 항체가 짧은 시간에 연속적으로 투여되면
면역
반응이 증폭되기 전에 바이러스와 싸우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파블로 페넬로자맥마스터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백신이 체내에서 작용한 후 충분한 휴식 시간을 두지 ... ...
영국, 오미크론 변이 대응 모더나 백신 내달 접종
동아사이언스
l
2022.08.21
차세대 백신으로 비강백신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기존 주사형 백신은 호흡기에서
면역
력을 형성하기 때문에 바이러스를 침투를 막는 1차 관문이 인체의 너무 깊숙한 곳에 있다는 지적이다. 반면 코에 직접 투여하는 비강백신은 보다 인체 외부에서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다. 벤자민 ... ...
분해 안됐던 '영원한 화학물질' 분해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9
PFAS는 적은 양이라도 체내에 쌓이면 간을 손상하고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며
면역
력을 약화하고 각종 암을 유발하는 등 납만큼 위험한 것으로 분석된다. 분해를 위해서는 400도 이상의 고온에서 소각해야 하는 등 과정이 간단하지 않다. 소각 과정에서 일부가 연기를 통해 대기로 유출되거나 ... ...
A형 신장이 'O형'으로…이식용 장기 혈액형 바꾸는 시대 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8.19
항체가 없다. 서로 다른 혈액형끼리 장기를 이식하면 이들 항원 항체가 서로 반응해
면역
거부반응이 발생한다. 이때 항원이 없는 O형만은 항원 항체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연구팀은 장기 중에서도 신장의 혈액형을 O형으로 변환하기 위해 사람의 체내에서 당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 ...
항암제 안통하는 원인 찾을까...살아있는 세포 RNA 분석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8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세포의 세포질을 채취해 RNA를 분석했다. 그 결과
면역
세포인 대식세포가 활성화되기 전후의 차이, 줄기세포의 일종인 지방 간질세포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궤적(trajectory)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트 디블랑케 스위스 EPFL 시스템생물학 및 유전학 교수는 "라이브식을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