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선택"(으)로 총 1,1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2018.03.24
- 별 다른 근거 없이도 신뢰하지만, 어떤 사람의 말은 근거가 있어도 귀를 틀어막으며 ‘선택적 신뢰’를 보이는 것에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길 바라는 마음이 일부 기여한다는 것이다. 학자들은 인간의 믿음은 동기(motivation)에 기반한다고 본다. 사실이어서 믿기도 하지만 그렇게 믿고 싶어서 믿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가,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2018.03.17
- 않고 남성 피해자에 대해서는 일반인 수준의 안타까움을 갖지만, 여성에 한해서만 선택적으로 높은 공격성과 낮은 공감능력을 보이므로, 성범죄자들에 대해 주변 남성들로부터 ‘저 사람은 그럴 사람이 아니다’는 말이 나오는 것이 놀라운 일은 아니다. 주변 남성들은 해당 범죄자가 여성에 한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2018.03.10
- '참 좋은 사람'이라는 이야기를 듣곤 한다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아내에게만 선택적으로 낮은 공감능력을 보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 아내를 제외한 타인에게는 평범하거나 따듯하고 이해심 많은 사람인 것이다 (Schweinle et al., 2002). 그렇다고 해서 이 사람이 학대적인 배우자라는 사실은 변하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2018.01.23
- 유전자는 규명하지 못한 상태였다. 연구자들은 게놈 연구가 잘 돼 있는 쪽을 선택해 이 효소의 유전자를 찾았고 마침내 성공했다. 연구자들은 이렇게 찾은 쪽의 당전이효소를 대장균에 집어넣었다. 트립토판이 잔뜩 들어있는 배지에서 이 대장균을 배양시키자 배당체인 인디칸을 만들어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의 시선과 의무감을 벗어던질 때 최고의 성과가 나온다 2018.01.06
- 물론 싫어도 해야하는 일들이 존재하지만, 적어도 한 두가지 정도는 순전히 나의 선택으로, 그저 그 일을 하는 내가 기쁘고 즐거워서 하는 성격의 것들로 채워 두는 게 정신 건강에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누가 인정해주든 인정해주지 않든 그저 내가 너무 기쁘고 즐거워서 그것만으로 충분히 ... ...
- [지뇽뇽 사회심리] 숙련 VS 성과2017.12.16
- 중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될만한 적절한 약물을 고르도록 했다. 약물을 선택하고 나면 선택의 결과로 인해 환자의 상태가 좋아졌는지 아니면 되려 나빠졌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주었다. 총 60회씩 두 세트에 걸쳐 환자를 치료하도록 했는데 여러 횟수를 거칠수록 점점 더 좋은 성과를 보이기 시작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2017.12.06
- DNA를 복제하는 효소와 전사하는 효소가 새로운 염기도 잘 처리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 선택성이 높아야 한다. 복제나 전사를 할 때 X나 Y 자리에 기존 네 가지 염기가 붙으면 안 된다는 말이다. 지난 2014년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화학과 플로이드 롬스버그 교수팀은 학술지 ‘네이처’에 수소결합이 ... ...
- 지뇽뇽 사회심리 I 끝없는 자기 비난은 도망의 다른 이름2017.12.02
- 있을까? GIB 제공 어떤 일에 책임을 진다는 것은 올바른 결과를 내기 위해 올바른 선택을 내리고 적절한 노력을 하는 등 일의 과정 하나하나에 직면하며 개입하는 것이다. 일이 잘 되지 않거나 스스로가 실망스러울 때에도 도망치지 않고 그 당시의 내가 할 수 있는 만큼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 ...
- [지뇽뇽의 사회심리]당신은 꼰대입니까? 2017.11.17
- 그때그때 필요에 의해 (보통 우리의 자존감에 봉사하는 방향으로) 기억의 단면들을 ‘선택적’으로 재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나는 정말 어렸을 때 실수도, 미숙함도, 오만함도 없는 사람이었을까? 그리고 지금의 나는 그 때의 나와 정말 아무런 관련성 없이 완전히 다른가? ● “아무래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2017.11.07
- 도처에 있다(주로 사람들이 돈을 더 쓰게 만드는 게 목적). 책에는 사람들이 비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수많은 예들이 소개돼 있는데 ‘이 정도인가’ 싶을 정도로 기가 찬 경우가 많다. 3장 ‘인간은 떼 지어 몰려다닌다’에서 저자들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이 기대한다고 생각되는 바에 부합하려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