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1. 내 몸 지키는 식욕 호르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시소’가 한 쪽으로 기울어지면 살이 찌거나 마른다. 몸속에 다이어트 시계 있다
우리
가 음식을 먹고 에너지를 소비하는 과정은 생체주기를 따른다. 하루를 주기로 아침엔 잠에서 깨고 밤엔 잠이 오며 하루 세번 ‘배꼽시계’로 배고픔을 안다. 이를 관장하는 ‘생체시계’는 뇌 시상하부의 ... ...
INTRO 지상 최대 '입자 쇼' 개막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이 쇼가 끝나면 우주라는 ‘밥상’에 맛있는 ‘반찬’들이 한 상 가득 오를 것이다.
우리
는 그들이 차려놓은 ‘밥상’을 맛있게 먹기만 하면 된다.LHC 연표1994년 12월 16일LHC 공사 결정.1995년 10월LHC 설계도 완성.1996년 2월 힉스입자 찾는 CMS와 ATLAS 검출기 실험 결정.1997년 2월쿼크-글루온 플라스마 찾는 ... ...
2. '블랙홀 공장'짓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미미하다고 가정하는 초끈이론은 매우 흥미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초끈이론에 따르면
우리
가 살고 있는 우주는 실제로 11차원 또는 10차원이며 따라서 6개 혹은 7개의 ‘여분의 차원’(extra dimension)이 존재한다. 수명 10-23초 ‘미니 블랙홀’1990년대 중반 이와 관련해 흥미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 ...
밤하늘에 흐르는 '용이 노니는 냇물' 은하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켜 별빛을 추적하도록 한다.올 여름 손에 닿을 듯한 지구의 풍경과 아득히 멀리 떨어진
우리
은하의 모습이 어우러진 천체사진을 찍어보자. 산 위에서 활활 타듯 하늘로 솟구치는 은하수, 하늘에서 쏟아지듯 바다에 걸쳐있는 은하수 사진은 어떨까. 7월 20일 해왕성 달 뒤로 숨다달은 천구에서 하루에 ... ...
클릭 한 번으로 펼쳐지는 '상상 그 이상의 설계'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구조물의 안전성을 감지하는 데 쓰인다. 트랜스듀서의 자석과 코일이 자기장을 만들면
우리
몸에 붙이는 ‘파스’ 같은 패치 형태의 자기변형 물질이 늘었다 줄었다 하며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그런데 구조물이 파손되면 초음파가 변형돼 돌아오거나 센서까지 도달하지 못한다. 센서가 변형된 ... ...
PART2
우리
는 누구나 시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공백(空白)한 하늘에 걸려 있는 촌락(村落)의 시계(時計)가여윈 손길을 저어 열시를 가리키면날카로운 고탑(古塔)같이 언덕 우에 솟아 있는퇴색한 성교당(聖敎堂)의 지붕 우에선 ... 五感의 네트워크 공감각 PART1 터키 행진곡은 붉은색! 한글은 자음의 색이 선명해요! PART2
우리
는 누구나 ... ...
한국인 최초 개인 게놈 해독 눈앞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아이디어를 냈다.예를 들어 서로 다른 숫자 10개가 위에서 아래로 나열돼 있다고 하자.
우리
에게 주어진 임무는 이 숫자들의 합을 구하는 일이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맨 위부터 숫자를 하나씩 더하면 된다. 기존의 시퀀싱 방법은 이렇게 한 번에 한 열의 숫자를 더하는 식이었다.그런데 만약 이런 ... ...
우리
바다 지키는 '포세이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감당하지 못해 지구온난화가 더욱 가속될 수 있다. 이는
우리
나라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에 따라 분담해야 할 금액이 더 커질 수도 있음을 뜻한다.김 박사는 “연구결과를 발표할 때마다 미래를 점치는 점술가라도 된 기분”이라며 “미래에 닥칠 가능성을 알려 사람들에게 ... ...
전 소대원 몰살시킨 의문의 바이러스 GP506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때를 제외하곤 너무 정상적이기 때문에 감기로 오인돼 몇 달씩 진단이 지연되기도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말라리아가 휴전선 인근에서 풍토병처럼 유행하고 있는데, 이는 비무장지대에 사는 야생동물이 말라리아 원충의 숙주 노릇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모기가 말라리아에 걸린 야생동물의 피를 ...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 10000BC로떠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고래와 코끼리, 코뿔소와 같은 동물들이 10000BC의 멸종을 이겨 내고 오늘날의 거대동물로
우리
와 함께 살고 있지요. 그런데 안타깝지만 이들도 멸종 위기에 처해 있어요.과거 공룡이나 거대 동물들이 멸종할 때보다 1000배에서 1만 배 빠른 속도로 지구의 거대 동물은 물론 작은 동물들이 멸종하고 ... ...
이전
847
848
849
850
851
852
853
854
8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