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궁극의 회로선폭' 0.3nm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과거’로 기록되는 속도가 지금처럼 빨랐던 적은 없다. 이제 역사의 속도는 너무 빨라
우리
가 위기를 분석하고 기회를 잡기도 전에 지나가 버린다.”미국의 저명한 미래학자 패트릭 딕슨은 2007년 펴낸 ‘퓨처와이즈’라는 책에서 미래 사회의 첫 번째 특징으로 ‘속도전’을 꼽았다. 2030년쯤 ... ...
숭례문화재보고서-방화에서 복원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아니다. 숭례문 화재 사건을 계기로 철저한 문화재 관리에 더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우리
의 무관심이야말로 문화재를 위협하는 가장 큰 적이기 때문이다."문화재를 원래 모습 그대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듭니다. 어느 하나도 소홀히 할 수 없기 때문이지요.신응수 대목장 ... ...
PART2. 공부전략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아니야. 상황과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다는 걸 꼭 명심해야 해.기분을UP! 성적도UP!
우리
가 하는 모든 활동은 뇌가 담당하고 있다고 말했던 거 기억하지? 공부도 뇌가 하는 것처럼 기분도 뇌가 담당한단다. 음~, 이쯤 되면 감이 슬슬 오지? 맞아! 공부와 기분은 서로 깊은 관계에 있다구!즐거운 ... ...
태양계 닮은 외계 행성계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충북대학교 한정호 교수, 한국천문연구원의 박병곤 부장, 이충욱 연구원 등
우리
나라 천문학자가 참여한 국제천문연구팀이 태양계와 닮은 외 ... 중심별과 행성이 떨어진 거리를 비롯해 질량비, 행성들의 표면 온도 등을 비교하면
우리
태양계의 태양-목성-토성 축소판으로 볼 수 있답니다 ... ...
너에게 주고 싶은 달콤함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피가 흐른다면 믿어지니?
우리
혈액 속에는 포도당이 함께 흐르고 있거든. 이 포도당은
우리
몸과 뇌의 에너지원이 되지. 하지만 혈액 속에 포도당이 너무 많거나 적으면 병이 나기 때문에 혈액 속 포도당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무척 중요해. 혈액 속에 포도당이 어떻게 들어가고 조절되는지, 왜 ... ...
지구 3차원 영상지도 전쟁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그래서 ‘정보는 많을수록 좋다’는 패러다임이
우리
사회를 지배하는 듯 했다. 하지만 정보가 너무 많다보니 이젠 ‘쓸모 있는 정보가 중요하다’는 패러다임이 곧 이를 대체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자신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고 관리하는 일이 더 중요해 ... ...
친환경으로 변신한 LED의 유혹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이끌 차세대 조명“LED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조명이
우리
삶을 바꿔 놓을 것입니다.” 루디 프로부스트 필립스 부회장 겸 조명사업부 CEO는 기조연설에서 LED가 이끌 ‘빛의 혁명’을 예고했다.LED 발 ‘혁명’은 이미 현재진행형이다. 필립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 ...
소설 쓰는 양자컴퓨터공학자 안도열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작가의 뛰어난 상상력을 체험할 수 있었다. 지구 존재도 기억하지 못하는 머나먼 미래에
우리
은하의 수많은 행성에 퍼져 살고 있는 인류의 역사를 그린 아시모프의 장편 SF시리즈 ‘파운데이션’은 보고 또 보며 수십 번은 읽었다.소설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시작한 때는 1998년부터였다. 서울시립대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기계식이 있다BC 460~370경 그리스의 철학자, 고대원자론의 완성자 사물의 성질에는
우리
의 감각과는 무관하게 사물이 본래 지니고 있는 것(중량, 굳기 등)과 인간의 감각에 기인하는 것이 있음을 지적했다 방위 분포가 혼란한 동종 미세결정 집합체에 의한 단색 X선의 회절상 데바이고리,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유화술이 도입된 뒤 ‘심봉사’는 동화에서나 만날 수 있는 인물이 됐다. 이렇듯 이미
우리
는 시력을 강화한 바이오닉맨에 한 발짝 다가가 있다.시력이 나빠지다 못해 상실될 위험에 처한 환자들도 ‘희망의 빛’을 볼 수 있게 됐다. 현대 과학자들은 ‘마지막 철옹성’인 망막 손상 환자를 위한 ... ...
이전
851
852
853
854
855
856
857
858
8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