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탐나는 열성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큰 이유다.단국대 생물학과 김욱 교수는 “지난 300년 동안 백인과 흑인의 유전자가 30%
정도
섞였다”고 말했다. 열성과 우성이 짝짓기를 하면 자손 대에서 갈색 눈이 겉으로 드러나고 푸른색 눈은 우성에 가려 드러나지 않는다. 김 교수는 “이 때문에 세대를 거듭할수록 푸른 눈의 비율은 줄고 갈색 ... ...
14년 우정이 만든 빛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오고가며 실험을 하고 세미나도 열었다. 그동안 주고받은 e메일만 해도 셀 수 없을
정도
다.제 교수는 “후 박사가 지도교수인 마가리톤도 부총장을 부를 때 ‘헤이~ 조르지오’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상상도 못하죠”라며 세 사람의 관계를 단적으로 설명했다. 물론 우리나라와는 문화적인 ... ...
바이오 에탄올 만드는 인공세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뮤지컬 ‘맘마미아’와 ‘명성황후’ 등 웬만한 유명 공연들을 모두 제자들과 관람할
정도
로 황 교수의 제자 사랑은 유별나다. 연구단에서 세계적인 성과가 잇달아 나오는 것도 제자를 아끼는 황 교수의 마음이 만들어낸 결과가 아닐까 ... ...
셜록 홈즈를 인도와도 맞바꿀 수 없는 까닭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세기 수많은 추리소설이 쏟아져 나왔다. 그러나 기억에 남을 만한 탐정은 손에 꼽을
정도
다. 에드거 앨런 포(1809~1849)가 창조한 프랑스 탐정 오귀스트 뒤팽. 그는 최초의 탐정소설인 ‘모르그가의 살인’을 비롯해 세 편의 소설에서 맹활약했다. 어두운 밤 사색을 즐기고 몽마르트 거리의 이름 없는 ... ...
사람을 구별하는 개의 능력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뛰어나다고 평가한다. 심지어 인간과 가장 가깝다는 침팬지보다도 월등한 능력을 보일
정도
다.일본 교토대 아타치 박사팀은 개가 인간을 인지하는 새로운 능력을 발견해 ‘동물 인지’(Animal Cognition) 1월호에 발표했다. 개가 주인의 목소리를 들으면 주인의 얼굴을 떠올린다는 내용이다.연구팀은 ... ...
차가운 겨울 녹이는 동백꽃과 동박새의 우정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꿀을 빨아먹고 사는 텃새로 동백나무가 자생하는 지역이면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다.11cm
정도
의 길이에 몸무게가 10g 내외인 동박새는 꿀을 빨기 적당한 부리를 갖고 있다. 눈동자 주위에는 원형의 흰색 테두리가 그려져 있고 턱밑의 화사한 노란 솜털은 연둣빛 깃털과 어우러져 경쾌하다.달콤한 ... ...
된장녀, 트랜스지방 탈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끊어보겠다고. 처음에는 입맛에 좀 안 맞겠지만 담백한 맛에 길들여지면 체중 걱
정도
덜 수 있을 거라 믿었다. 오메가3 지방산이 많이 들어있는 생선을 자주 구워먹고 심심할 때마다 호두도 까먹기로 했다. 튀김을 할 때는 신선한 기름에서 재료를 단시간에 익혀 먹을 생각이다. 한씨는 어렸을 때 ... ...
PART3 암세포 잡는 삼총사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발전할까. 현재 수술로봇은 수술의 정확도를 높이고 통증과 상처를 최소화하는 보조도구
정도
지만 앞으로 수술 전 과정을 로봇 혼자서 하고 의사는 수술과정을 확인만 하는 시대가 열릴 전망이다.여기에는 가상현실 구현시스템과 ‘촉각 장비’(haptic device)를 결합해 만든 ‘수술계획장비’를 ... ...
PART1 실험동물 복지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설치하라는 것.법안에 따르면 앞으로 동물실험에서는 동물의 존엄성과 복지, 고통
정도
, 실험의 유효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만약 동물실험을 하더라도 실험 중 고통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진통제나 진정제, 마취제를 사용해 ... ...
과학자도 놀란 창덕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아니다. 대구대 물리교육과 임성민 교수는 “구두를 신고 걷기에 약간은 불편할
정도
로 울퉁불퉁한 박석에 인정전을 환하게 보이게 하는 난반사의 원리가 숨어있다”고 밝혔다. 난반사란 한 방향에서 입사한 빛이 울퉁불퉁한 각을 2차 광원으로 삼아 여러 방향으로 반사해 흩어지는 현상이다.인정전 ... ...
이전
848
849
850
851
852
853
854
855
8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