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퀴가 만드는 사이클로이드의 비밀과학동아 l2007년 02호
- 이 곡선은 일정한 주기로 반복된다.사이클로이드는 수많은 과학자들의 관심을 사로잡을 정도로 매력적이었다. 사이클로이드라는 이름은 1599년경 갈릴레이가 붙였다. 1634년 프랑스의 수학자 드 로베르발은 원의 넓이와 사이클로이드 넓이의 관계를 밝혔다. 원이 한번 회전했을 때 얻어진 ... ...
- MEMS는 미래기술의 해결사과학동아 l2007년 02호
- 있다. 또 나노기술(NT)은 물론 정보통신(IT), 생명과학(BT) 등 활용되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다. MEMS가 ‘미래기술의 해결사’로 불리는 이유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거울을 만든다윤 교수는 디스플레이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세계시장을 주름잡는 디스플레이는 액정이 움직이는 각도에 따라 ... ...
- 가마와 벽화에 남은 자기장의 흔적과학동아 l2007년 02호
- 금속이 자연 속에 남긴 흔적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런 금속의 구조를 살펴보면 3x10-7m 크기 정도의 매우 작은 자기구역(magnetic domain)으로 나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작은 자기구역들은 각각이 하나의 영구자석이나 다름없다.보통 이런 자기구역들은 방향이 제멋대로라 전체적으로는 자석의 성질을 ... ...
-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1호
- 근대적인 지도의 바탕이 되었다. 이 지도는 제작된 후 1000년이 넘은 후에도 인쇄될 정도로 널리 사용되었다.인류 최초로 세계 일주를 한 ‘마젤란’인류가 세계 일주에 성공한 것은 불과 500년도 되지않았다. 1519년 동남아시아로 가는 항로를 개척하기 위해 스페인을 출발한 항해사 마젤란은 대서양을 ... ...
- 산소요정의 왕자님 살리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1호
- 허파꽈리가 무려 3억 5000여 개나 있다. 허파꽈리를 모두 펼치면 테니스장의 반을 덮을 정도로 넓다. 따라서 공기와 많이 닿을 수 있다. 어떻게 숨을 마시고 내뱉을까?산소요정은 허파 속으로 들어가기 위해 갈비뼈를 올리고 횡격막을 내렸다. 왕자는 크게 숨을 들이마셨고 산소요정은 허파 속으로 ... ...
- "돼지, 이것도 모르면 안 되지~!"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1호
- 땅 속의 먹이를 찾아 내게 된 것이다. 그러다 보니 돼지는 냄새로 주인과 새끼를 알아볼 정도로 코의 능력(?)이 무척 뛰어나다. 그러니, 돼지 앞에 가서 절대 코자랑은 하지 말 것!4. 주몽도 돼지가 고마울걸?왜 돼지꿈을 꾸면 복권을 사거나 고사에 돼지머리가 빠지지 않는 걸까? 바로 돼지가 행운과 ... ...
- [천문우주]태양계 밖 외계행성의 두 얼굴과학동아 l2007년 01호
- 하는 것도 그런 이유다. 하지만 적외선을 사용하면 행성과 항성의 밝기 차이가 1000분의 1 정도로 줄어들어 관측이 가능해진다.연구팀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스피처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웁실론 안드로메다 b를 관측한 결과 4.6일 주기로 적외선의 밝기가 행성의 위치에 따라 변했다. 별빛을 받는 ... ...
- 1. 우주 최대 난제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진행 중이다. 박 교수는 “2015년쯤 되면 W가 -1인지, 즉 암흑에너지가 진공에너지인지 1% 정도의 오차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리스 박사는 “과거의 어느 한 시점에라도 W가 -1이 아니라면, 유력한 암흑에너지 후보인 우주상수는 버려질 것”이라고 밝혔다. 물론 암흑에너지가 ... ...
-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과학동아 l2007년 01호
- 만드는 유전자(MITF), 세포간 신호를 전달하는 몇몇 핵심유전자(Wnt, Shh, Notch)를 찾아낸 정도다. 충남대 생물학과 김철희 교수팀은 유전체 구성과 발생과정이 인간과 유사한 제브라피쉬를 모델로 유전자 사냥에 나섰다.제브라피쉬의 배아에 인간유전자를 발현시켜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면 각각의 ... ...
- 슈퍼독감의 조상, 조류인플루엔자과학동아 l2007년 01호
- A형 독감바이러스는 꼬리고리를 형성하면서 세포를 감염시킨다. 꼬리고리는 30개 정도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데, 그중 하나라도 변이를 일으키면 핵산단백질이 증식하지 못한다.일본 도쿄대 의과학연구소 가와오카 요시히로 교수도 사람 세포와 쉽게 결합하는 헤마글루티닌 아미노산 변이를 ... ...
이전8498508518528538548558568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