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요법
처치
진료
방법
치료법
구제법
뉴스
"
치료
"(으)로 총 9,982건 검색되었습니다.
AI개발 집중투자… 10년내 선진국 기술수준 따라잡는다
2016.08.11
것이다. 특히 폐암, 위암, 대장암 등 한국인이 잘 걸리는 3대 암에 대한 맞춤형
치료
와 진단법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빅데이터 정보들을 제약기업, 병원 등도 공동으로 활용하게 할 방침이다. 2025년 세계 정밀의료 시장규모가 147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신약개발과 의료기술 연구를 ... ...
국내 연구진, 세계적 면역학 저널에 ‘리뷰논문’ 게재
2016.08.10
환자는 1억7000만 명에 이른다. B형 간염은 몸속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완치
치료
제가 아직 개발되지 않았고, C형 간염은 예방백신도 없다. 신 교수는 지난 15년간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인체 면역반응을 연구해온 전문가로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A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을 ... ...
줄기세포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물질 찾았다
2016.08.09
시점 역시 결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라며 “퇴행성 질환이나 암 등 난치병
치료
제 개발에 도움이 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셀’ 자매지인 ‘셀 메타볼리즘’ 7월 28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병든세포만 정밀 타격…신개념 암
치료
제 나온다
2016.08.09
단백질이 200~300개씩 끌려 들어갔다. 최경선 교수는 “면역세포의 공격을 피할 수 있어
치료
용 단백질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면서 “인체에도 안전한 기술”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itons)’ 7월 22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소리 종류 따라 뇌 속 공포 기억 저장위치 바뀐다
2016.08.05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와 같은 질환을
치료
할 때 환자가 경험한 자극에 따라 맞춤형
치료
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미”라며 “추가 연구를 통해 공포 자극이 편도체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 밝힐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4일 자에 ... ...
항암제 효과 떨어지는 원인 찾았다
2016.08.03
온 교수는 “이번 연구는 스트레스 과립의 형성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적 항암
치료
기술의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7월 6일 자에 게재됐다. ... ...
혈관 속 약물 배달할 ‘짚신벌레 로봇’ 나왔다
2016.08.02
움직일 수있는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마이크로 로봇은 병든 세포를
치료
하기 위해 속에 집어넣는 작은 로봇이다. 필요한 약물을 세포까지 이동시켜주는 배달부 역할을 한다. 보통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므로 몸 바깥에서 강한 자기장을 이용해 환부까지 끌어당기는 방식을 ... ...
中 토종식물, 알고보니 신약 후보물질
2016.08.02
2~8m까지 자라는 식물이다. 연구진은 청향목 추출물이 항염증 효능이 높아 천식
치료
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천식에 걸리도록 한 쥐에게 몸무게 1kg 당 30mg의 추출물을 투약하고 4일간 관찰한 결과 염증이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이밖에 연구진은 세포실험을 통해 청향목 추출물의 ... ...
화성탐사에 활용 가능한 ‘휴대용 제약공장’ 개발
2016.07.31
기기를 개발했다. - MIT 제공 보건 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은 전쟁터나 오지 등에선 환자
치료
에 어려움을 겪는다. 미국 연구진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약물을 자가 생산할 수 있는 기기를 개발했다. 티모시 루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전자연구소 교수팀은 살아 있는 미생물 세포를 이용해 ... ...
공룡 멸종 이유가 어둠이 무서워서?
과학동아
l
2016.07.30
pixabay 제공 인간은 언제부터 어둠 속에서 물체를 구별할 수 있었을까. 한․미 공동 연구팀이 망막 내 명암을 인지하는 간상세포가 밝은 ... 못해 멸종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김정웅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안구질환
치료
나 기초 생명과학 분야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전
848
849
850
851
852
853
854
855
8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