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요법
처치
진료
방법
치료법
구제법
뉴스
"
치료
"(으)로 총 9,983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이 포켓몬 GO에 대해 몰랐던 6가지
2016.07.14
불안으로 힘들어하던 나를 집밖으로 나가게 해주고 있다” 등 포켓몬 GO가 정신의
치료
제가 된 사례가 많습니다. - 트위터 제공 4. 첫 포켓몬을 ‘피카츄’로 시작하는 방법이 있다? 국내에서는 정식 출시를 하지 않아 정식적인 루트로는 게임을 설치할 수 없습니다. 해외 계정을 우회해 설치하는 ... ...
이 단백질 많으면 암세포도 독한 놈입니다
2016.07.13
판단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암 환자를
치료
하기 위해서는 조기에 발견해 적절한
치료
를 진행하는 것이 생존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발견 시기가 늦어질수록 환자의 완치 확률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의학계에서는 암 진행 정도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 ...
환부에만 약물 보낸다… 벌떼처럼 움직이는 미세입자 나왔다
2016.07.12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를 활용하면
치료
할 부위에만 약물을 보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전망이다. 스티브 그래닉 기초과학연구원(IBS) 첨단연성물질연구단장(울산과학기술원 특훈교수)이 이끄는 연구진은 지름 1~1000㎚(나노미터‧10억 분의 1m) 크기로 만든 미세 콜로이드 입자들을 ... ...
[사이언스 바캉스 2016] 세 번째 준비물 '뇌과학'
과학동아
l
2016.07.08
※ 편집자 주 8월 6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리는 사이언스바캉스가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바캉스에 함께할 분들이 미리 살펴보면 좋을 기사와 영상 등 '준비물' ... 똑똑한 인공 뇌 ☞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 ☞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
할 수 있을까 ... ...
“연골, 한번 닳아 없어지면 재생 어려워”
2016.07.07
것으로 보고 있다. 재어 교수는 “이번 연구로 연골 이식수술이나 줄기세포 시술의
치료
효과가 제한적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며 “젊어서부터 연골이 닳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새살이 빠르게 솔솔~ 줄기세포
치료
제 개발
2016.07.06
있어 부작용이 컸다”며 “이번 연구성과는 손상 부위
치료
및 재생 효과를 높이는 세포
치료
제 개발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생물재료 분야 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스(Biomaterials)’ 6월호에 실렸다. ... ...
[사이언스 바캉스 2016] 두 번째 준비물 ‘중력파’ ‘후성유전학’ 외
과학동아
l
2016.07.06
원인으로 유전 현상이 일어나는 신비로운 현상인 ‘후성유전학’이 주목 받고 있다. 암
치료
와 진화 등 여러 분야에서 주목 받는 후성유전학에 대해 알아본다. ☞ 쌍둥이는 왜 다를까, 후성유전학이 답한다 ☞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 쓰레기 RNA가 암 ... ...
치사율 60% 패혈증, 우리 몸 속에 답 있었네
2016.07.05
발생하는 질환인 만큼 이를 제어해 염증반응을 줄이도록 제어한 것”이라며 “패혈증
치료
의 새로운 방법을 찾은 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세포생물학 관련 학술지인 ‘오토파지(Autophagy)’ 6월 23일자에 실렸다. ... ...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
수학동아
l
2016.07.05
방법이 있다. 좀비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전에
치료
약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치료
약 개발이 쉽지 않다면 많이 모여 있는 곳을 집중 공격해 좀비 수를 줄여 나가는 것이 인류가 살아남을 방법이라고 소개했다. 더불어 좀비를 피해 여러 명이 함께 숨어 있으면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그 ... ...
20년 전 오늘, 복제 양 ‘돌리’ 탄생
2016.07.04
만들었다. 이를 활용하면 손상된 세포와 조직, 장기를 되살려 궁극적으로 난치성 질환을
치료
할 수 있다. 값비싼 단백질 의약품을 젖이나 소변에서 생산하거나 인공장기를 만들 수 있는 유전자변형(GM) 동물의 복제도 활발해졌다. 형질전환 복제 미니돼지를 활용해 인공장기를 연구하고 ... ...
이전
851
852
853
854
855
856
857
858
8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