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2. 뇌파 낮추면 마음의 평안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상태에서
눈
동자만 머리꼭대기를 쳐다보듯이 위를 보면서
눈
꺼풀만을 살짝 감을 때
눈
의 검은자 부위의 아래로 흰자부위가 얼마나 많이 보이느냐로 판명된다. 이 안구회전신호를 우리는 최면감수성-얼마나 몰입할 수 있는가하는 정도-의 생물학적 지표(biological marker)로 삼는다.결론적으로 말하면 ... ...
5. 잠과 뇌파, 그 신비의 관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자다가 일어나 침대 가장자리에 앉거나 또는 걸어다니는 증상을 보이는데 이때
눈
을 뜨고 장애를 피하면서 걷는다. 특별히 놀라거나 감정변화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그러나 때로는 장애물을 피하지 못해 다칠 수 있으므로 주위에서 보살펴주어야 한다. 또한 몽유상태에서는 어떤 자극을 가해도 ... ...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차단해야 한다. 망원경이나
눈
에 주변의 가로등불이나 기타 광이 들어오면 자신의
눈
이 렌즈에 어리거나, 망원경내의 난반사로 빛줄기들이 퍼져 제대로 관측할 수 없게 된다. 건물옥상이라면 빛이 차단되는 후미진 곳이나 기타 구조물로 바람막이와 같은 빛 차단벽을 세우면 좋다.그림과 같이 ... ...
1. 텔레파시의 비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진동을 브라운관을 통하여 TV화면에 나타나게 하는 브라운관 방식도 있다. 이것은
눈
으로 뇌파의 변화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보통 진찰용으로는 잉크식 오실로그래프 방식을 이용하고 수술실에서 변화하는 모습을 보면서 수술할 경우는 브라운관 방식을 이용한다.그밖에 뇌파분석장치를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받았다. 원자력의 위력을 알기 위하여 대기중에서 원자탄 폭발을 시험하였을 때 공기 비
눈
으로부터 양분을 얻기 위하여 고도의 흡수능력을 가진 클라도니아(Cladonia)종의 지의류는 역시 방사능 낙진도 흡수하였다. 1960년대 중반에 주로 순록의 고기를 먹고 사는 라브라도인들은 스트론튬 90과 세슘 13 ... ...
한강의 두번째 기적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물은 깨끗하게 만들어 보자는 생각이다. 팔당 댐 이북 상수원 보호지역에는 올해 들어
눈
에 띄게 식당이나 호텔이 늘어났고, 얼마 전에는 무더기로 허가해 준 골프장의 도산 위기를 이유로 골프장 오염방지 기준을 완화해 주기로 결정했다는 우울한 소식도 있었다.강은 그 강에서 사는 모든 사람의 ... ...
과학고·과기원 입시총정보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것입니다. 화학 물리야 1980년대 이전 내용으로도 물을 것이 많지만 생물 분야는 그동안
눈
부신 발전을 이룩했습니다. 따라서 신생분야인 분자생물학과 발생학에 비중을 많이 두고 있어요. 행태학과 생리학도 비교적 자주 다루고요. 어떤 데이터에 대한 분석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보고 ... ...
밝은 성단(星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보다 크고 보다 빽빽이 뭉쳐진 별들의 집합은 '구형' 별무리들로서 어떤 것들은 우리
눈
엔 희미한 빛의 반점 정도로 겨우 보인다. 북반구에선 가장 밝은 무리가 M13인데 이는 허큘리스좌에 위치한 거대한 공모양의 별무리다. 작은 망원경으로 봐도 이 무리는 1백만개에 가까운 별들이 마치 보석으로 ... ...
4. 이상뇌파로 질병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갑자기 행동을 멈추고 멍하니 한 곳을 응시하는 증상이 대개 1분 이내로 나타난다.
눈
을 깜박이기도 하는데 대개는 곧 의식이 회복되어 하던 일을 계속한다. 소발작의 경우 3Hz의 매우 규칙적인 극파(棘波, 예파 보다 더 뾰족한 파)와 서파의 혼합파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이밖에도 생후 6개월 전후에 ... ...
6. 세타파 개발하면 누구나 초능력자 될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다른 어느 분야에 비해 그 연구가 뒤져왔다. 그러나 이제 인류가 정신세계의 중요성에
눈
을 뜨면서 마음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는 심리학을 비롯해, 마음의 세계를 직접 연구대상으로 삼아 모든 학문의 협조적 참여로 이뤄지는 인지과학(認知科學)이 발전하고 있다. 아울러 ... ...
이전
849
850
851
852
853
854
855
856
8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