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시공을 뛰어넘는 원격체험 TE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중요한 문제는 만나서 얘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예기다. 서로
눈
에 보이지 않는 교류를 하면서 순간순간 대처해 나가는 공존감각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현재 미국 일본에서 연구중인 '현장감 통신회의'는 참가자들이 각기 입체영상안경과 손의 움직임을 검출해내기 ... ...
손톱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통하는 손톱은 간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등 전신성 질환을 미리 암시하기도 한다.
눈
을 마음의 창이라고 한다면 손톱은 건강의 창이라고 부를 수 있다. 신경도 피도 통하지 않는 각질부, 그야말로 죽은 세포덩어리에 불과한 손톱을 가리켜 건강의 창이라니. 아마도 의아롭게 생각하는 사람이 적지않을 ... ...
'보다 크게 보다 작게'가 만드는 신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밝은 얼굴을 보겠구만. 그런데 이건 뭔가?"피셔가 발명한 공기정화기를 발견한 친구의
눈
이 빛나기 시작했다."이거, 먼지와 티끌까지 빨아들이지 않아?"피셔에게서 자초지종을 듣고난 친구는 이 원리를 이용한 진공청소기 제작을 제안했다. 바로 용도를 바꾸는 발명이었다.피셔와 그의 친구는 서둘러 ... ...
1. 0.001초 차이 가려내는 컴퓨터 판정의 순간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종목도 많다. 체조경기에서 현란한 율동과 초인적인 묘기에 대한 평가는 역시 인간의
눈
과 머리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구기종목도 공이 둥근 만큼 심판의 실수가 가끔 나와야 경기를 관전하는 재미가 더해진다.만약 프로야구에 컴퓨터심판이 등장한다면 어떨까. 우선 주심의 시원스런 '스트라이크' ... ...
4. 한국체육과학 연구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현대 스포츠에서 기록갱신은 상당 부분 스포츠과학의 성과에 의존한다. 대표선수들과 같이 바르셀로나를 향해 뛰는 한국 스포츠과학 연구의 현주소 ...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도 선수들의 치열한 기록경쟁 이면에는 스포츠과학자들의 '
눈
에 보이지 않는' 또다른 경쟁의 불을 뿜을 것이다 ... ...
(1) 효능 입증안된 것이 대부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반복해서 실험동물의 피부에 바르는 누적자극실험, 액체화장품인 경우 실험동물의
눈
에 떨어뜨린 뒤 그 상태를 관찰하는 안점막자극실험,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실험 등을 거친다"고 태평양화학연구소의 이옥섭 기초제품연구실장은 밝힌다.이에 대해 고려대부속 구로병원 피부과 ... ...
(1) 「3년만에 20만」 통신인구 폭발적 증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문제를 제기, 한차례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후 외국소프트웨어 업체들이 감시의
눈
초리를 강화해 이러한 공공연한 불법복제는 거의 없어졌다. 그러나 아직도 회원을 많이 확보하기 위해 상업용 프로그램을 무료 또는 염가에 복제해주는 민간 BBS가 없어지지 않고 있다.통신망을 통한 ... ...
컴퓨터 그래픽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컴퓨터 그래픽스는 과학과 기술과 자본이 가장 유기적으로 결합한 산물이다. 인간에게
눈
이 가장 중요한 정보원으로 쓰이는 한 그래픽 기술은 끊임없이 진보할 것이며 향후 20년간은 컴퓨터 그래픽의 시대가 될 것이다. 그러나 그래픽의 사용과 더불어 미국에서 문맹이 증가한다는 현상은 ... ...
멀리있는 실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것이다.색깔과 모양과 의미를 담은 아름다움이란
눈
으로 바라보는 사람에게 뿐 아니라
눈
이 사용되는 방법과 무슨 장비의 협조를 얻었느냐에 따라서도 달리 나타난다. 그러나 어쩌면 가장 멋진 아름다움은 멀리있는 우주를 그리는 우리 마음속에 존재할는지 모른다.Far-out RealityWhen a column is a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일치하지 않으며, 천구의 적도와는 (그림7)에서 보듯이 63.5도의 각을 이루며 만난다.우리
눈
에 낱개로 보이는 별들은 대개 멀어야 1천광년 정도이며 이보다 더 먼 별들은 은하수 속에 파묻히게 된다. 위도가 φ인 북반구 지방에서는 낱개로 보이는 별 중 δ>90°-φ인 것들을 계절에 무관하게 매일밤 볼 수 ... ...
이전
853
854
855
856
857
858
859
860
8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