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72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의 뉴스픽]한국 기업 연구도 기초과학
학술
지에 실리는 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돌며 ‘특집판’을 내며 짭짤한 수입을 거둔 네이처가 논문 무료공개 운동으로 국제
학술
지 출판 시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행여 기업 시장에서 뭔가 새 돌파구를 찾으려 하는 건 아닌지 불편한 상상을 해보기도 합니다. 아무튼 이번 논문으로 한국이 QLED 소재 연구에서 ... ...
전기차 6분이면 90% 충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충전과 방전 시간을 단축해 고출력을 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재료 분야 국제
학술
지 ‘에너지앤인바이러먼털사이언스’ 9월 17일 자에 발표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이차전지의 동력만으로 자동차를 움직이기 때문에 배터리의 성능이 곧 자동차의 성능이다. 따라서 성능 좋은 ... ...
"알레르기비염 환자 70% 이상은 진드기 등 실내 환경이 원인"
연합뉴스
l
2020.10.19
집먼지진드기 원인 비중 63%→73%…"생활패턴 변화 결과" (서울=연합뉴스)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김지희 교수가 알레르기 비염 환자를 ... 알레르기 비염의 양상 또한 변화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알레르기, 천식, 임상 면역학'에 게재됐다. ... ...
"코로나19 치료 새 후보 약물 3가지 찾았다"
연합뉴스
l
2020.10.19
차단제 계열의 혈압약이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화학학회(ACS: American Chemical Society)
학술
지 '약리학과 중개과학'(Pharmacology & Translational Science) 최신호에 실렸다. skhan@yna.co.kr (끝) ...
QLED 디스플레이 난제 '청색광 퀀텀닷' 왜 만들기 어렵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최대 효율을 달성하면서도 안정적인 자발광 퀀텀닷을 개발했다고 이달 15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퀀텀닷이란 전압을 가하면 스스로 빛을 내는 지름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양자점(반도체 결정체)을 의미한다. 크기에 따라 색을 결정하는 빛의 파장을 세밀하게 ... ...
"지구 절반만 돕는 혁신으론 위기 벗어날 수 없어...'하나의 지구' 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회장을 맡고 있는 특이한 이력의 소유자다. 2004년에는 노벨상을 수여하는
학술
단체로 유명한 스웨덴왕립과학원 회원으로 선출되는 등 과학행정과 학계 양쪽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이렇게 경계를 넘어서는 이력에 대해 그는 “과학적 발견은 공학자의 손을 통해 또다른 해결책으로 발전되는 ... ...
한중일 후쿠시마 오염 방출 분석 논문 보니 1~10년내 영향…"방류영향 예측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8
관심이 쏠린다. 이를 설명하는 데는 일본 카나자와대와 후쿠시마대가 2018년 국제
학술
지 ‘해양과학’에 발표한 논문이 주로 인용된다. 이 연구는 2011년 사고 이후 원전에서 흘러나온 세슘137 오염수가 북태평양에서 어떻게 확산되는지를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했다. 논문에 따르면 오염수는 ... ...
日 27일 오염수 방출 결정 앞두고 치밀한 '준비'…IAEA도 이견 없어 사실상 속수무책
동아사이언스
l
2020.10.18
있는 한국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일본 가나자와대와 후쿠시마대 등이 2018년 국제
학술
지 ‘해양과학’에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2011년 사고 이후 원전에서 흘러나온 세슘137 오염수 중 일부가 동해로 흘러들어오는 데 1년 정도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사고 4~5년이 지난후 세슘 137 농도가 가장 ... ...
[표지로 읽는 과학]과학적 증거 묵살한 도널드 트럼프 美 행정부
동아사이언스
l
2020.10.18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1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와 마스크 등으로 둘러싸인 미국 백악관의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바이러스와 마스크 외에도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로고와 공장의 굴뚝 등도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 ...
[표지로 읽는 과학]100년 만에 구현한 상온 초전도
동아사이언스
l
2020.10.17
제공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이달 14일 상온을 가리키는 온도계와 아주 높은 압력을 가리키는 기압계그림을 표지에 실었다. 네이처는 14.5도의 상온과 대기압의 267만 배에 이르는 고압 환경에서 초전도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찾은 연구를 커버스토리로 소개했다. 네덜란드 물리학자 카멜린 ... ...
이전
855
856
857
858
859
860
861
862
8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