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72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아바타 속 '신비의 자원' 상온 초전도 사상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약 15도의 상온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물질을 실험을 통해 발굴해 그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14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초전도체는 물질의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완전 도체’의 특성과, 주변 자기장을 밀쳐내 완전히 상쇄하는 ‘완전 반자성’의 특성을 동시에 지니는 물질이다. 전기 ... ...
충격 받으면 멍드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충격을 받으면 사람의 피부처럼 푸르스름하게 멍드는 소재가 개발됐다. 늘리는 힘을 가하자 소재가 푸르스름하게 변하는 것이 바로 눈에 보인다. 한국과 ... 및 인공 피부로 응용 연구에 매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10일 국제
학술
지 ‘매크로몰레큘스’에 게재됐다 ... ...
지나친 무관심, 치매 위험 징후(?)
연합뉴스
l
2020.10.15
[제작 이태호] 일러스트 지나친 무관심(apathy)이 치매의 징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학 ...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학회(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학술
지 신경학(Neurology) 온라인판(10월 14일 자)에 발표됐다. ... ...
[코로나19 연구속보] 입원한 코로나19 환자 7명 중 1명은 뇌·신경에 손상 입는다
2020.10.15
확인됐다. 미국 뉴욕대 그로스만의대 연구진은 이같은 연구결과를 신경학 분야
학술
지 ‘뉴롤로지(Neurology)’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코로나19로 인한 뇌수막염이나 뇌염 같은 직접적인 신경염증 사례가 확인되지 않았다”며 “이는 코로나19 감염병을 유발하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SARS ... ...
LED 연구에서 청색광이 마지막에 정복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스스로 내는 양자점(퀀텀닷) 발광다이오드(QLED)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이달 15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LED 개발에서 푸른 빛을 내는 것은 마지막 난제로 꼽힌다. 푸른 빛이 다른 빛에 비해 에너지가 크다 보니 이를 내는 소재를 개발하기가 가장 어려워서다. 오랜 기간 큰 에너지를 ... ...
QLED 기술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발광 효율 21.4%를 달성하고 소자 구동 시간을 100만 시간으로 구현한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빛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소자에서 빛을 내는 퀀텀닷(코어) 표면 산화를 억제하고, 코어 주위를 둘러싸는 껍질인 쉘을 대칭 구조로 균일하게 성장시키면서 두께를 ... ...
삼성전자 청색광 QLED 최고 효율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공개하며 QLED 상용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기업들이 사내 연구결과를
학술
지에 공개하지 않는 것과 달리 적극적인 공개 방식으로 기술 주도권을 잡고 있다 ... ...
코로나19 사태 10개월...과학이 밝힌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14
나타나 있다. 이런 연구는 이 바이러스에 대한 인류의 지식을 크게 넓히고 있다.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리뷰 미생물학’은 지난 7일 이 같은 최근 성과를 모아 코로나19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대해 과학이 밝힌 내용을 정리한 리뷰 논문을 공개했다. 리뷰논문은 그 분야의 석학이 넓은 시야로 ... ...
코로나19 항체 7개월까지 유지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4
혈액을 채취해 분석한 결과, 항체가 4개월이 지나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면역학 8일자에 발표했다. 제니퍼 거머만 캐나다 토론토대 면역학부 교수와 앤 클로드 징그러스 분자유전학부 교수 공동연구팀도 코로나19 환자 402명의 혈액을 조사한 결과 IgG 항체가 최소 11 ... ...
"형광 신호로 장 내 염증 진단한다" 스마트 미생물 개발
연합뉴스
l
2020.10.14
장 질환 진단 기술과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바이오센서스 앤 바이오일렉트로닉스'(Biosensors & Bioelectronics) 지난 8월 20일 자에 실렸다. ... ...
이전
857
858
859
860
861
862
863
864
8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