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5,83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 (조범동 VM 대표)과학동아 l201311
- 관심분야였던 탈것을 만들어 보급하는 것. 탈것은 우리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분야로, 에디슨의 GE가 우리의 삶을 크게 바꿔 놓았던 것처럼 조 대표 역시 사회를 바꾸고 지속가능한 형태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첫째는 꿈, 둘째는 열정 “저는 좋은 직장에 가지 못했기 때문에 창업하는 건 ...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1311
- 보내는 학교여서 별로 진학 걱정을 안 했죠. 처음엔 식품공학 하고 싶었는데 집에서 그 분야를 좋아하지 않았어요. 건축학도 좋아했는데 잘 안 됐어요. 아버지가 이북에서 내려오셨는데 아들이 선장이 되기를 바랐어요. 어머니는 의대 가기를 바랐고.” 지금은 해양연구센터장인 그는 뜻밖에도 ... ...
- 소년이여, 네 멋대로 해라 (이정모 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과학동아 l201311
- 매일 행복하게 자기가 하고 싶은 일 하고 있어요.” 이 관장의 말이 이어졌다.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자신이 대학교 다닐 때 중문학이나 러시아문학 하는 친구들은 뭐 먹고 살까 걱정했는데 오히려 지금은 잘 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의사는 현재 가장 선호하는 직업이고 꼭 필요한 ... ...
- INTRO. 노벨 과학상 2013과학동아 l201311
- 과학자들이 물리학상을 받아 이목을 끌었다. 생리의학상은 다시 한번 기초 생화학 분야가 수상했고, 화학상은 독특하게도 컴퓨터와 관련한 이론화학자들이 받았다. 다채로운 2013년 노벨 과학상의 이모저모를 살펴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 과학상 2013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11
- 위에 ‘노벨상의 잃어버린 고리’라고 표현했다). 길고 복잡한 힉스 메커니즘 연구 분야에서 앙글레르와 힉스 교수의 업적은 정확히 어느 부분인지 알아보자. 이를 위해서는 먼저 몇 가지 용어와 사전 지식을 알아야 한다.첫 번째는 게이지 대칭성이다. 자연은 대칭을 좋아하며 우주의 움직임과 구성 ... ...
- 전자책 부록_소문난 名品학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11
- 학부 교육에 필요한 요건 9가지를 추렸다.그리고 대학생 60명과 약 20명의 교수들에게 분야별로 학과를 추천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힌 ‘강의’ 부분에서는단 한 개의 학과도 추천받지 못했다. 깊은 지식을 요구하는 공대의 전공 강의라서 외부로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 ...
- 바다가 있는 한 조선해양공학은 영원하다과학동아 l201311
- “선배들이 조선 분야를 세계 최고로 이끌었다면 후학들은 앞으로 해양플랜트와 심해저 분야에 도전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세계 경제를 바라볼 수 있는 소양이 필요하다“조선해양공학과에서는 리더십, 창의성, 도덕성, 사회적인 책임감을 갖춘 인재가 필요합니다. 학과가 요구하는 ... ...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 (정진원 삼성SDS EMS팀 기획파트장)과학동아 l201311
- 아무래도 적성에 맞지 않아서 소프트웨어 쪽으로 고개를 돌렸다. 그런데 소프트웨어 분야에는 그 보다 더 잘하는 친구들이 많이 있었다. 그는 “통신은 하드웨어도 아니고, 소프트웨어 코딩 할 필요도 없어서 통신을 주전공으로 선택하게 됐다”고 말했다. 통신 네트워크 엔지니어는 현장에 나가서 ... ...
- 주경야독 철도원, 나노분야 대가로 성장하다 (이영희 성균관대 물리학과 및 에너지과학과 교수)과학동아 l201311
- 연구비를 지원받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단장으로 선발되기 전부터 탄소나노튜브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 화려한 조명을 받았지만 그가 살아온 길은 순탄치 않았다. 소위 전라북도 깡촌에서 자란 이 교수는 어려운 집안 사정 때문에 초등학교나 중학교 때 다른 사람들처럼 특별히 뭐가 되겠다는 ...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1311
- 연구 성과도 내지 못할 겁니다. 요즘 유명한 저널에 실리는 논문들 보세요. 특히 생물학 분야 연구논문들을 보면 관련 저자들이 보통 20명은 넘습니다. 협동연구를 할 줄 모르는 독불장군은 좋은 연구 성과도 내지 못합니다.” 이와 함께 그는 연구자에게 필요한 창의적 사고는 ‘용기’에서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