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기술"(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식물, 이젠 피부에 양보하세요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꾸밀 수 있게 됐다. 2019년 국내에서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약 371만 마리다. 대부분 기초 과학기술 연구와 의약품 개발 등에 활용됐다. 실험실에서 생을 마감하는 동물에게는 미안한 일이지만, 인류가 과학 지식을 축적하고 의약품과 의료기술을 개발해 과거보다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된 ... ...
- [논문탐독] 세포를 시공간적으로 살피다, 4D 뉴클레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이미지를 크게 보려면 PDF를 클릭하세요 우리 몸은 수정란 하나가 수많은 세포분열을 거쳐 만들어졌습니다. 덕분에 모든 세포는 같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체에 존재하는 세포는 200여 종류로 다양하며 모두 각기 다른 모습과 기능을 가집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비밀 ... ...
- [과동키즈] 어린 날에 바라보던 저 달은 여전한데과학동아 l2021년 06호
- ▲ 한때 천체물리학자를 꿈꾸던 조준호 씨는 작사와 작곡을 하고 퍼커션과 우쿠렐레를 연주하는 음악가가 됐다. 수능 날은 다른 날보다 유독 춥다는 속설이 있다. 어디선가 그 말을 들을 때마다 내 머릿속에 떠오르는 장면이 있다. 깜깜한 밤, 학교 운동장에 아이들이 옹기종기 모여 앉아있다. 하 ... ...
- [특집]새로운 과일, 어떻게 만들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과일을 새롭게 만들 수 있다니 정말 신기해! 비결은 교배육종 기술이라고? 그러면 더 크고 달콤한 과일도 만들 수 있을까? 맛있는 과일은 많이 먹고 싶단 말이야~.크고 달콤한 과일을 새롭게 만드는 비결은 ‘교배육종●’ 기술이에요. 특징이 다른 품종을 교배해 새로운 종자를 만드는 기술이지요. ... ...
- [가상 인터뷰] 화성에서 필요한 산소, 직접 만들어 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Q. 자기소개를 부탁해.A. 안녕! 난 시아노박테리아야. 난 30억 년 전부터 지구에 살았어. 지금은 물속에서부터 사막과 극지방까지 지구 곳곳에 살고 있지. 원시 지구에는 산소가 없었는데, 시아노박테리아가 광합성을 해서 산소가 풍부해졌단다. 덕분에 산소로 호흡하는 다양한 생물이 지구에 등장 ... ...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논쟁, ‘투명성’에 주목해야과학동아 l2021년 06호
- 4월 13일,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해양 방류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년 뒤인 2023년부터 30년에 걸쳐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한다는 계획이다. 발표 직후부터 다양한 우려가 국내외에서 제기됐다. 삼중수소 등 방사성 물질이 수산물과 사람에 미칠 영향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현 ... ...
- [한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다룰 수 있는 자동화 기술을 설계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였다”고 설명했다.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의 연구지원을 받아 VGP에 한국 대표로 참여한 김희발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교수팀은 새롭게 밝혀낸 표준유전체와 예전 기술로 만든 표준유전체를 비교해 기존 표준유전체의 오류를 규명해냈다. ... ...
- [SF소설] 랄로랑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행성 랄로랑이는 지구를 닮았다. 모항성 타우타이에서 떨어진 거리도 그렇고 덩치에 어울리지 않는 커다란 위성 마시나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그리고 랄로랑이에는 문명이 있다. 여러 문명이 서로의 존재를 모르는 상태로 대륙 각지에 퍼져 있고 가장 앞선 문명은 연한 금속을 겨우 ... ...
- [기획] 쓰레기 묻으면 100t, 태우면 15t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대란에서 과학기술이 맡은 역할이다. 지금도 곳곳에서 쏟아지는 폐기물 처리 문제를 과학기술은 어떻게 풀어내고 있을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쓰레기 묻으면 100t, 태우면 15tPart1. [기획] 폐기물의 마지막 종착지, 매립지Part2. [기획] 폐기물 대란으로 본 직매립의 현주소Part3. ... ...
- 사람 발길 닿지 않는 곳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이미지를 크게 보려면 PDF를 클릭하세요 더이상 지구상에 인류의 손이 닿지 않은 곳은 남아있지 않은 걸까. 만약 그런 구역이 남아있다면 지금이라도 보전할 가치가 있다. 이에 생태 보존 연구자들은 1980년대부터 지도를 펼쳐 놓고 인류의 손이 닿지 않았을 법한 지역을 찾아 나섰다. 처음에는 단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