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기술"(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과 지식 공유 막아선 안 돼”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인터넷에서 누구나 자유롭게 학술지 논문에 접근 가능한 상태를 추구한다. 영국의 하원과학기술위원회의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1998년에서 2003년 사이 학술지의 평균 가격은 58%까지 증가했다. 이는 당시 물가 상승률 11%보다 5배 이상 높은 수치다. 이런 학술지의 횡포에 맞서 나온 것이 오픈 액세스 ... ...
- [이공계 잡터뷰] 의료기기도 데이터 시대, 데이터 과학자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전 세계 곳곳에서 모인 데이터가 3400만 건이 넘었다는 뜻입니다.”4월 5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의료기기 전문기업 인바디 사옥. 커다란 전광판에서 계속 올라가는 숫자의 의미를 묻자 김경수 인바디 미래연구실 대리가 이렇게 답했다. 국내 기업이 전 세계 수천만 명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이유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로봇공학전공, 초음파 영상에 '접묘법'을 들이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우리는 반대로 점묘법의 개념을 의료영상 기술에 접목하고 있습니다.”3월 26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의생명 초음파 연구실에서 만난 유재석 로봇공학전공 교수가 마치 미술작품처럼 보이는 영상을 소개하며 이렇게 말했다. 영상 속에는 수많은 점이 모여 그려낸 혈관이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 ...
- [기획] 쓰레기 묻으면 100t, 태우면 15t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대란에서 과학기술이 맡은 역할이다. 지금도 곳곳에서 쏟아지는 폐기물 처리 문제를 과학기술은 어떻게 풀어내고 있을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쓰레기 묻으면 100t, 태우면 15tPart1. [기획] 폐기물의 마지막 종착지, 매립지Part2. [기획] 폐기물 대란으로 본 직매립의 현주소Part3. ... ...
- [기획] 도시와 공존하는 폐기물 처리 기술의 미래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환경부가 선언한 ‘직매립 제로’를 실현하기 위해선 아직 갈 길이 멀다. 폐기물을 소각할 시설을 확충하고, 기존에 운영 중인 소각시설을 재정비해야 한다. 게다가 폐기물을 소각하더라도 소각재를 묻을 매립지는 여전히 필요하다. 앞으로도 폐기물 처리시설을 둘러싼 첨예한 갈등이 예상되는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보물을 품은 거인? 고대 유적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그렁그렁 행성을 떠난 뒤로 해롱 호 승무원들은 딱지의 눈치를 봤습니다. 하지만 선장만은 예외였습니다. “흥! 저 녀석이 계속 임무를 받아버리면 귀찮단 말이야.”그러면서 본부에서 임무만 주려고 하면 이런저런 핑계를 대면서 받지 않았습니다. 결국 딱지는 다시 처음의 지루한 생활로 돌아 ... ...
- [기획] 순간 포착! 과학 세상에 이런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흔적 ★도움박정원(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 연구단 연구위원), 최홍수(대구경북과학기술원 로봇공학과 교수), 소지현(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식물분자계통학연구실 박사후연구원), 곽영실(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 김상철(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책임연구원) ... ...
- [핫이슈] 뮤온의 ʻ흔들림 값’ 예측보다 커 새로운 기본입자 가능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표준모형은 자연계의 물질과 힘을 17가지 기본입자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네 가지 힘 중 중력을 제외한 나머지 힘(전자기력, 약한 핵력, 강한 핵력)을 표준모형으로 설명해낼 수 있다. 2012년 마지막 퍼즐이었던 힉스 입자가 발견되며 표준모형은 완성된 듯 보였다. 그런데 4월 7일, ... ...
- 신속PCR 쟁점 3가지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지난 2월 서울대는 1시간 이내에 빠르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는 검사법인 신속유전자증폭검사(신속PCR)를 교내에 시범사업으로 도입해 캠퍼스 운영을 정상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서울대는 공대 및 자연대 학생을 대상으로 전수검사를 진행하겠다는 계획 ... ...
- 인류는 늘 이동하고 섞였다...동아시아인의 복잡한 형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우리’의 기원을 묻는 것은 어느 수준에서 정의하는가에 따라 그 대답이 달라진다. 고인류 연구는 주로 현대인 모두에게 공통인 인류 보편적인 진화사를 연구한다. 그렇다면 현대인 기원 이후의 더 가까운 과거로 관심을 돌려보면 어떨까. 인류 진화사의 마지막 퍼즐 조각에서는 한국인이 속한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