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d라이브러리
"
면적
"(으)로 총 1,98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이번 해양생물 센서스의 보고서를 보고 이상한 점을 발견했을 것이다. 지구에서 육지의
면적
은 30%에 불과하지만 해양은 70%에 이른다. 그러나 발견된 해양생물종은 23만 종으로 육지에서 발견한 생물종 200만 종에 비해 턱없이 적다. 해양생물종은 육지생물종에 비해 다양성이 떨어지는 것일까 ... ...
F1 머신에 민무늬 광폭 타이어를 다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를 사용한다. 표면에 홈이 없는 민무늬의 슬릭(Slick) 타이어다. 민무늬는 바닥을 밀어내는
면적
이 넓어 접지력이 좋고 곡선 구간에서 안정성이 좋다. 드라이 타이어는 고무 재질의 특성에 따라 슈퍼 소프트, 소프트, 미디엄, 하드 네 가지 타입으로 나눈다. 이들을 선택하는 기준은 주변 온도다. F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있었다.도시의 중요성은 수치로도 입증된다. 지구에 있는 수십만 개의 도시를 모두 합친
면적
은 지구 전체의 1%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에너지 사용량은 75%에 이른다. 도시의 인구는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고, 수백만 명 단위의 ‘메트로시티’를 넘어 1000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메가시티’도 속속 ... ...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단백질을 작물에서 합성해 해충 저항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2) 단일한 GMO작물의 재배
면적
확대와 생물다양성을 연결하는 문제입니다.예시답안1) GMO작물 중에는 제초제 저항성 작물이나 살충 단백질을 지니고 있는 작물이 있다. 그러한 작물은 포유동물에는 무해하지만 곤충에는 악영향을 주는 ... ...
1 수학책과 친해지기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읽었더니 이런 내용이 나오는 거야.“짧은 시간 동안 산소를 많이 교환하기 위해 폐는 표
면적
을 최대한 넓게 만든 프랙털 구조로 되어 있다.”책을 읽고 나면,프랙털? 프랙털은 자기 닮음 도형이라던데…. 닮음 도형? 앗! 내 몸 속에도 수학이 있구나!이런 생각을 할 수 있겠지?책을 통해 폐에 수학의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없앨 수 있다. 공기방울이 유기물과 만나는 시간이 길수록, 공기방울이 작아서 전체 표
면적
이 넓을수록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없앤다.산호를 기르고 싶다면 물속에 칼슘을 넣어 주는 칼슘리액터도 필요하다. 산호가 성장하는 데 칼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칼슘리액터는 탄산칼슘을 이용해 칼슘 ... ...
우주범선, 여름 밤하늘을 항해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우주범선의 돛 하중률(sail loading)과 조사율 벡터(lightness vector)다. 돛 하중률은 단위
면적
당 돛의 질량으로 이 값이 작을수록 가속도가 커진다. 힘이 일정할 때 가속도와 질량은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돛 하중률이 2g/m2 이하일 때 태양계를 벗어나는 여행이 가능한 빠른 속도가 보장된다.조사율 벡터는 ... ...
나노기술이 여는 식도락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작을수록 단위부피당 표
면적
은 오히려 넓어지기 때문이다. 결국 혀에 닿는 입자의 전체
면적
은 늘어나 초콜릿의 단맛을 더 잘 느낄 수 있다.소금의 양은 줄이면서도 짠맛은 그대로 유지하는 감자칩도 같은 원리를 이용한다. 보통 수mm 크기인 소금 결정을 수nm 크기로 작게 만들면 적은 양으로도 ... ...
시간이 지나면서 풍선의 변화는?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크다는 것은 부피에 따른 체표
면적
의 비율이 낮은 것이다. 따라서 부피에 따른 체표
면적
의 비율이 낮아지면 열에너지 전환 비율도 낮아진다. 2) 변온동물은 열로 전환되는 에너지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외부의 열을 이용해 자신의 체온을 조절한다. 따라서 생쥐보다 열에너지 전환 비율이 ... ...
20분에 1종씩 생명이 사라지는 지구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산호초 역시 해양오염과 지구온난화로 인해 지난 10년간 20% 이상
면적
이 줄었다.보고서는 “생물의 멸종속도와 서식지 감소는 이번 세기에 더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생물다양성이 떨어지면 인간 사회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기후변화에 따라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