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대"(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그 에너지 차이로 운동에너지가 줄어든다. 마치 날아가는 공에 수만 개의 공을 반대 방향으로 충돌시켜 공을 느려지게 만드는 것과 비슷하다. 이렇게 원자가 초저온으로 냉각되면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이라는 현상이 나타난다. 입자들이 모두 동일한 양자역학적 상태가 돼 마치 하나의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는 학문이 아니라는 겁니다. 사회가 어떤 연구를 활성화할지를 결정하기도 하고, 반대로 연구가 사회의 발전 방향을 정하기도 합니다. 사회에 관심을 쏟는 과학자, 과학에 관심을 쏟는 사회학자가 더 많아져야 하는 이유입니다. 2 염색체는 수컷, 발달은 암컷? 발달 중인 배아는 ATCGATCCTCGG…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그냥 제 전공 분야인 ‘경제학 잘하는 법’으로 할 걸 그랬어요! 수학동아 : 반대로 보람 있거나 기억나는 순간이 있다면요? 최근에 어떤 독자에게 메일이 왔어요. 수학과에 진학하고 싶다며 진로 상담하는 내용이었죠. 그래서 수학 자문 담당 수학과 친구에게 상담을 부탁했어요. 친구는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 도형의 닮음 편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도형이 닮음이라고 말하려면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가 무엇인지도 말해줘야 하지요. 반대로 닮음인 두 도형의 비를 알고 싶으면 서로 대응하는 변 1쌍을 골라 길이를 비로 나타내면 됩니다. 두 도형이 닮음이면 한 도형의 각 변에 똑같은 수를 곱해서 다른 도형이 되므로 아무 변이나 골라도 비가 ... ...
- 세계에서 통한 수학 게임 앱, 토도수학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나오는 게 있는데요, 손으로 끌어다가 다른 탈리 근처로 가져가면 ‘찰싹~’ 붙게 되고, 반대로 당기면 ‘띠용~’하면서 떨어집니다. 이렇게 말로 하면 간단해보이지만, 찰싹~이나 띠용~ 같은 움직임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려면 수학이 중요합니다. 일단 탈리의 위치를 시간에 따른 함수로 표현하고,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위(Oui)!” 단위 재정의 투표는 호명되는 나라의 대표가 일어나 이에 대해 찬성 또는 반대 입장을 간단하게 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총회에 참석한 이들은 숨을 죽이고 답변에 귀를 기울였다. 한국 대표로 참석한 박상열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도 “예스!”라며 단위 재정의에 찬성했다. 수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조르당 곡선에서 정사각형을 찾아라! 내접 사각형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있을 수 있다면 그 사각형은 반드시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이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반대로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을 잘 확대 또는 축소해서 임의의 조르당 곡선 위에 네 꼭짓점이 항상 있게 할 수는 없을까요? 이 문제 역시 대부분 경우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특수한 경우만을 오스트리아 ...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레이저 두 개로는 광집게를 구현하기 매우 어렵다. 특히 두 개의 레이저를 정확히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발사하기란 권총 결투에서 총알을 총알로 쏴서 맞추는 것보다 더 어렵다.그때부터 애슈킨 연구원은 광집게를 쉽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드디어 16년 뒤인 1986년 그는 획기적인 ...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가능성에 한계를 두지 않고 본인의 결정을 실행하는 데 거침없는 인물이다. 비웃음이나 반대에 직면해도 결코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실제로 그가 생명 진화의 원리를 효소에 적용해 기능을 개선하고자 했을 때 당시 많은 생명공학자들이 ‘너무 단편적이며 진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접근’이라고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777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칠한 점을 선으로 이으면 다각형을 만들 수 있다. 좋은 리듬은 정다각형?! 밀른 박사는 반대로 임의의 다각형을 만들고 이에 대응하는 리듬을 찾았다. 원 위의 점 16개로 약 17조 개가 넘는 다각형을 만들 수 있는데, 실제로 우리가 선호하는 리듬은 이 중 일부에 불과했고, 밀른 박사는 듣기 좋은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