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대"(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 강팀 이겨야 유리한 새로운 FIFA 랭킹 시스템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 원칙은 간단합니다. 이길만한 팀이 이기면 점수가 조금 오르고, 반대로 질 것 같은 팀이 이기면 점수가 많이 오르는 것입니다. 상대적인 실력 차이를 점수에 반영한 것이죠. 독일 이긴 우리나라 왜 아직도 57위? 그런데 FIFA는 왜 갑자기 순위 산정 시스템을 바꾼 걸까요? 201 ... ...
- Intro 2. SF 속 우주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반(反)물질(antimatter) 폭탄이다. 반물질 폭탄은 우주를 이루고 있는 물질과 특정한 성질이 반대인 반물질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양성자는 전하가 양(+)인 반면, 반양성자는 전하가 음(-)이다. 반물질이 물질과 만나면 쌍소멸 현상을 일으키며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한다. 질량이 에너지로 바뀌기 ... ...
- [과학뉴스] 고대 인류가 거대 땅늘보를 사냥한 증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이를 인간이 땅늘보의 발자국을 추적했다는 의미라고 해석했어요. 이어서 연구진은 반대편에서 다른 인간의 발자국을 발견하고, 두 발자국 흔적 사이에서 땅늘보가 발톱을 휘두른 자국도 발견했지요. 연구진은 이 발자국 흔적이 인간이 땅늘보를 둘러싸고 사냥한 흔적이라고 주장했어요. 나아가 ... ...
- [과학뉴스] 화장실 냄새는 ‘역여과 변기’로 해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여과 장치는 큰 입자는 거르고, 작은 입자는 통과시킨다. 그런데 반대로 큰 입자만 통과시키고 작은 입자는 차단하는 ‘거꾸로 여과기’가 등장했다.탁 싱 웡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기계및원자력공학부 교수팀은 작은 입자를 차단하고 큰 입자를 통과시키는 역여과 장치를 만들어 ‘사이언스 ... ...
- [Culture] 비틀스의 ‘In My Life’ 진짜 작곡가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글을 모은 것이다. 당시는 미국이 연방정부를 형성하던 시기였고, 이 글은 연방정부를 반대하던 각 주 대표들의 마음을 돌리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 문제는 이들 글이 가명으로 쓰였던 탓에 총 85편 중 12편을 누가 썼는지에 대해서는 세 명의 저자가 모두 사망할 때까지도 밝혀지지 ... ...
- Part 1. 세계는 지금 우주 요격 기술 경쟁 중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폐기됐다.이외에도 소형 위성으로 적의 위성을 따라가 자폭해 파괴시키거나(우주 기뢰), 반대로 주요 위성 주위에 소형 위성들을 배치해 유사시 위성을 교란시키거나 육탄으로 방어하는 ‘보디가드 위성’도 있다. 위성을 요격하려는 기술과 방어하려는 기술이 창과 방패처럼 경쟁적으로 발전하고 ... ...
- [Origin] 인간 이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때 주로 발현된다”며 “라이거의 경우 덩치가 커지는 잡종강세가, 타이온의 경우 반대로 덩치가 작아지는 잡종약세가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늑대 존속 위협하는 ‘코이울프’ 노새나 라이거, 타이온 등 이종교배로 탄생한 동물의 경우, 대부분 인간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졌다. 하지만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생태계와 에너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연안에서는 홍수가 발생한다. ‘라니냐ʼ는 스페인어로 여자아이를 뜻하며, 엘니뇨와는 반대로 적도 동태평양 해수면의 온도가 평년보다 0.5도 이상 낮은 상태가 5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을 말한다. 무역풍이 강화되면서 평상시 차가운 동태평양 해역의 온도가 더욱 낮아진다. 라니냐는 동태평양 ... ...
- [통합과학 교과서] 게임에 갇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부드럽게 따라가요. 이럴 때는 몸의 앞과 뒤에 압력 차이가 거의 생기지 않아요. 반대로 몸이 동그란 모양이라면, 물은 몸의 표면을 따라가던 도중에 흐름이 급하게 바뀌고 말아요. 그러면 몸의 뒷부분에서 물이 휘몰아치면서 압력이 약해지지요. 몸의 앞부분에 가해지는 물의 압력이 더 크기 ... ...
- [Issue] 뇌는 커지고, 얼굴은 작아졌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음식 탓, 안면부는 작아져 두개부는 진화 과정에서 점점 커졌지만, 안면부는 정반대로 줄어들었다. 여기에도 여러 가설이 있지만, 가장 유력한 가설은 음식의 변화다. 다니엘 리버만 미국 하버드대 인류진화생물학과 교수는 음식의 종류와 요리법에 의해 씹는 횟수가 줄었고, 그로 인해 턱의 근육과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