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대"(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블랙홀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없어진다는 이론이지요. ●반입자 : 쌍을 이루는 입자와 모든 성질이 같지만 전하만 반대인 입자. 호킹 박사는 사건의 지평선에 걸쳐 있는 입자-반입자 쌍을 상상했어요. 한 입자가 운 나쁘게 사건의 지평선 안쪽으로 들어가 강력한 중력에 이끌려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더라도, 사건의 지평선 밖에 ... ...
- 탐루엉 동굴 조난 사고의 기적, 생명을 구한 잠수의 기술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물을 밀어낸 부피만큼 뜨는 힘(부력)이 생긴다. 부력의 방향은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과 반대다. 부력은 양성부력과 음성부력, 중성부력으로 나뉜다.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이 부력보다 큰 경우에는 물체가 가라앉는 음성부력,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이 부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물체가 뜨는 양성부력이 ... ...
- [Career] ‘하버드 공대 공부벌레들’과의 2주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나트륨 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한다. 이때 생성되는 전자가 나트륨에 저장된다(충전). 이와 반대로 전기를 사용할 때는 음극에 있던 전자가 양극으로 이동해 바닷물과 반응하면서 다시 나셀트륨 이온으로 돌아간다(방전).서 교수는 해수배터리를 태양전지와 연결하는 미션도 줬다. 이렇게 하면 ... ...
- [Issue] 파리 vs 런던 집값 더 비싼 곳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2배 반 가까이 늘어날 정도로 철도 건설이 활발하게 이뤄졌다.그러나 1960년대부터는 정반대의 일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자동차가 교통의 주역으로 부각되면서 철도를 걷어내고 그 자리에 도로를 만드는 일이 일반화된 것이다. 우리나라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서울 시내를 다니던 전철이 없어진 ... ...
- Part 1. 더 튼튼하게, 더 멀리! 바퀴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수 있었기 때문이지요. 그 이유는 마찰력에 있어요. 일반적으로 물건을 밀면 움직이는 반대 방향으로 미끄럼 마찰력이 생겨요. 미끄럼 마찰력은 물건의 움직임을 방해하지요. 무게가 무거울수록 미끄럼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더 큰 힘이 필요해요. 한편 바퀴는 회전하며 움직일 때 구름 마찰력이 ... ...
- [별난이름정리] 햄 샌드위치 정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위쪽은 20% 정도밖에 안 돼 보이거든요. ➌번처럼 칼질을 하면 처음의 경우와 완전히 반대로 아래쪽을 가져가려던 사람이 하나도 못 먹게 됩니다. 그럼 ➊번 직선과 ➌번 직선 사이에 어느 순간에는 빨간 직선처럼 절반으로 나뉘는 지점이 있겠네요. 그 지점을 찾아 칼질하면 한 번에 두 팬케이크를 ...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맞춰 디자인된 지역에 배치된 팀에게만 유리하다. 상대편 맵은 구조는 똑같지만 방향이 반대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FPS 맵은 두 팀이 배치되는 부분이 구조가 똑같을 뿐만 아니라 서로 점대칭을 이뤄야 한다.그밖에도 레벨디자이너는 유저들이 게임에 로그인, 로그아웃하거나 게임에서 활동할 ...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채 이동한다. 이처럼 정보가 전달되는 데 시간이 필요한 것을 ‘국소성’이라고 한다. 반대말은 ‘비국소성’인데, 이 때는 정보가 공간을 뛰어 넘어 순간적으로 전달된다. EPR 역설을 해결할 후보, 벨 부등식EPR 역설은 양자역학의 치명적 약점이다. 하지만 당시 대부분의 물리학자는 이 문제를 ... ...
- Part 2. 메가기둥 구조로 중력을 거스르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카를 들어 올리고 내리는 역할을 하는 ‘권상기’, 카와 권상기를 연결하는 ‘로프’, 카 반대편에서 균형을 잡아주는 ‘균형추’로 이뤄져 있다. 균형추는 카의 50% 정도의 무게를 가진 추로, 권상기는 균형추의 무게를 뺀 나머지 무게만 들어 올리면 된다. 그런데 초고층건물에서 생기는 문제가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들어 180°을 라디안으로 나타내고 싶으면 양변에 1/2을 곱하면 되니까 180°는 πrad이에요. 반대로 π/4rad을 도(°)로 바꾸려면 2π=360의 양변에 1/8을 곱하면 되니까 π/4=45가 돼서 45°가 되는 걸 알 수 있지요. 아주 간단하죠? 각도를 기억해라!벌써 7번째 방송을 마칠 시간이 왔습니다. 이제 ‘각도’에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