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움직임"(으)로 총 2,985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자속의 변화를 관찰한 흔적은 없었다. 즉, 처음에 제안됐던 것처럼 전하만으로 회로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소자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2008년까지 나노 단위에서 멤리스터를 구현하는 연구를 했던 김태희 이화여대 물리학과 교수는 “멤리스터가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거죠. 여기서 ‘진동’은 ‘떨칠 진(振)’과 ‘움직일 동(動)’이 합쳐져서 ‘흔들리며 움직임’이라는 뜻이랍니다.‘떨칠 진(振)’은 ‘손 수( =手)’와 ‘때 신(辰)’이 합쳐진 한자예요. ‘때 신(辰)’은 원래 조개껍데기를 칼처럼 이용해 풀을 뽑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랍니다. 이후 시각을 ... ...
- [Future] 큰 녀석들의 전쟁, 거대 로봇 삼국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개의 손가락이 달린 두 팔이 달려 있다.구라타는 총 30개의 관절로 이뤄져 있어 몸 전체의 움직임이 비교적 부드럽다. 조종은 사람이 직접 탑승해서 하거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할 수 있다. 탑승자는 가슴에 있는 조종석에 들어가는데, 애니메이션에서 봤던 첨단 조종 환경이 그대로 구현돼 ...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눈으로만 컴퓨터 화면 스크롤을 내리고 PC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다. 눈의 위치와 눈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근적외선센서 설계가 돋보인 제품이었다.초소형·고감도 센서의 비밀, 3차원 구조센서를 작게 만드는 것은 간단한 일이 아니다. 열화상 카메라에 들어가는 적외선센서에서 빛을 ... ...
- [포커스 뉴스] 로봇 = 다른 인간 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인공지능을 인간으로 보려는 움직임이 시작됐다. 유럽연합(EU)의회 법사위원회는 1월 12일, EU차원에서 로봇 개발과 사용에 관한 규제, 그리고 로봇의 의무와 권리를 규정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했다. ‘또 다른 인간 종’의 탄생을 앞두고 논란이 점화될 전망이다. 인간에겐 기본소득을, ... ...
- [Future] 걸음을 선물하는 제2의 다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재현한다.다만 아직 온전히 두 다리로만 걸을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사람의 상체 움직임을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팡이의 도움을 받고 걸어야 한다. 한국 연구팀도 이 분야에 매진하고 있다. 2016년 10월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린 사이배슬론 대회에서는 외골격로봇을 착용하고 장애물을 통과하는 ... ...
- [Career] 건담 로봇 마니아, 건담보다 어려운 연료기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연구했던 분야는 지금의 연구와는 전혀 관계 없는 곤충기계의 움직임이었다.연료 입자의 움직임 파악해 에너지 생산 효율 높인다박 교수는 대단히 도전적인 연구자다. 서울대 공대에서는 2016년부터 세명의 교수를 선발해 연간 3000만 원씩 10년간 연구비를 지원하는, 이른바 ‘한 우물 파서 홈런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핸드건이 거의 주포 급이다.# 남은 시간 36초 #아줌마는 레이더 수트라고는 믿기지 않는 움직임으로 녀석의 공격을 연속 회피하지만 이미 몇 군데 장갑이 날아갔다. 이런 젠장. 경보음 따위 무시하고 일어나 플라즈마 블레이드를 최대한으로 전개한다. 그리고 동귀어진을 각오하고 도약한다. 시간이 ... ...
- [수학뉴스] 다이빙 금메달 따고 싶다면 지원하세요!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반복할 수 있을까요?최근 호주 시드니대학교 연구팀은 다이빙 선수의 몸통과 팔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방정식을 만든 뒤, 시뮬레이션했습니다. 그 결과 왼쪽과 오른쪽 손을 각각 위·아래로 뻗은 뒤, 다시 순서를 바꿔 아래·위로 뻗으면 몸의 회전율이 커졌습니다. 1.8초 안에 공중제비를 한 바퀴 반 ... ...
- [수학뉴스] ‘모아나’ 속 바다를 만든 건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바다를 구현했습니다.컴퓨터 그래픽으로 파도를 만드는 건 매우 어렵습니다. 유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풀어야 하는데, 아직까지 정확한 풀이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연구팀은 파도를 최대한 현실에 가깝게 묘사할 수 있는 방정식의 근삿값을 구하는 걸 목표로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