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문
전기 기술자
본업
specialty
과
학과
d라이브러리
"
전공
"(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아벨상 수상자 세머레디 교수 난제 해결의 실마리는 가벼운 문제에서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뼈있는 한마디를 던지며 강연을 마무리했다.“장담하건대 앞으로 여러분이 어떤
전공
과 직업을 선택하든 수학에서 배운 논리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명제를 제시하면 반드시 근거를 함께 보여 줘야 하는 것이 수학의 논리입니다. 수학은 현실과 동떨어진 학문이 아닙니다. 여러분의 자산으로 수학을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성장하는 데 관찰력만큼 좋은 게 없답니다. 사실 저는 대학에서 의상 디자인을
전공
했어요. 대학을 졸업하고 미술학원을 운영하면서 다른 미술학원에 없는 색다른 미술활동, 창의력 프로그램을 만들었죠. 대기업의 문화 마케팅 담당자였던 한 학부모님의 제안으로 ‘색깔 놀이터’란 어린이 ... ...
[생활]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하라! 무한의 발견 ∞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공부해 1649년 영국 옥스퍼드대의 기하학 교수가 된 인물이다. 결과적으로 그가 수학으로
전공
을 바꾼 일은 굉장히 잘한 일이었다. 이탈리아의 수학자 카발리에리나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데카르트의 생각을 이어 극한 개념을 수학적으로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이뿐만 아니라 월리스는 ... ...
[fun] 신선한 우리 작가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독자가 주역이라는 점이다. MID멤버에 가입하면 누구든 ‘프리뷰어’가 될 수 있다. 과학
전공
자뿐 아니라 의사, 직장인, 주부, 학생같이 다양한 계층의 MID멤버들이 편집상태의 책을 미리 읽어보고 의견을 보내오고 있다. 오탈자 지적에서부터 문장과 책의 내용에 대한 의견까지 독자들이 보여주는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 21세기 논리학 컴퓨팅적 사고를 키운다Q 컴퓨터 공학은 어떤 학문인가요?A 100년 전 사람들은 논리학을 통해 생각했다면 현대인들에게는 컴퓨팅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가 ... 들면 자연대, ‘어떻게 활용할까’가 궁금하다면 공대에 오세요. 저는 후자였으니 공학을
전공
하고 있겠죠 ... ...
[시사] CHIHULY 유리와 자연의 입맞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생기를 불어 넣다유리 공예가 데일 치훌리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실내 디자인을
전공
했다. 우연한 기회로 유리의 매력에 빠져, 50년간 유리 공예에 인생을 바쳤다. 식물과 자연을 사랑하는 치훌리의 이야기를 들어 봤다.어떤 계기로 유리 공예를 시작하게 됐나요?어느 날 스테인드 글라스 몇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하다 합성은 처음 해본 건데 막상 해보니 어렵지 않더라고요. 소질이 있는 것 같아 아예
전공
을 바꿨죠. 하하.” 이 분야에서 잘 나가다가 또 답답함을 느껴 도전한 것이 ‘대박을 낸’ 제올라이트로 메조다공성 물질을 만드는 연구였다. 유 교수는 “죽어가던 나를 구사일생으로 구한 연구”라고 ... ...
[career] “세계 10대 기업 절반이 에너지 기업”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사례연구상을 받기도 했습니다.Q 앞으로 에너지 전문 펀드매니저가 되고 싶은데요. 이
전공
을 공부하는 것이 도움이 될까요?A 물론이죠. 어떤 산업에 성공적으로 투자하기 위해서는 그 산업을 누구보다 잘 알아야 하고, 그런 면에서 공대 출신이 유리합니다. 특히 에너지산업처럼 규모가 천문학적인 ... ...
[fun] 다른 곳에는 없는 독특한 과학책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수직한다’라는 말 자체가 이해가 안됐어요.” 대학시절 국문학을
전공
한 이진경 과장은 신입사원 시절을 떠올리며 웃었다. ‘수직한다’는 보통 ‘두 직선이 직각으로 만나다’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생소한 단어와 표현이 가득한 글을 가지고 저자와 부딪힌 적도 여러 번이었다. “이상한 애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수학을 공부했다. 대학원에 가서 전기신호가 어떻게 정보처리에 쓰이는지 흥미를 느껴
전공
을 바꿨다. 마침 장소세포 연구는 뇌 정보처리 이론을 연구하기에 가장 알맞은 주제였다.현재는 고려대 신경계산연구실에서 장소세포와 격자세포를 활용한 전기 생리학실험을 하며 세포들이 어떻게 장소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